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Why Africa
  • 아프리카 대륙 정보
아프리카 대륙 정보
대륙개관
아프리카 지도 - 가나,가봉,감비아,기니,기니비사우,나미비아,나이지리아,남수단,남아프리카공화국,니제르,라이베리아,레소토,르완다,리비아,마다가스카르,말라위,말리,모로코,모리셔스,모리타니,모잠비크,베냉,보츠와나,부룬디,부르키나파소,상투메프린시페,세네갈,세이셸,소말리아,수단,시에라리온,알제리,앙골라,에리트레아,에스와티니,에티오피아,우간다,이집트,잠비아,적도 기니,중앙아프리카공화국,지부티,짐바브웨,차드,카메룬,카보베르데,케냐,코모로,코트디부아르,콩고,콩고민주공화국,탄자니아,토고,튀니지
국가 수
54개국*
* 국제연합(UN) 회원국 기준
인구
14억 2천만 명
('23년 추정치, UN)
면적
30,067,234km²
(지구 육지면적의 약 20%)
GDP
약 8조 9천억 달러(PPP)
약 2조 8천억 달러(명목)
('24, IMF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우리 상주 공관 수
24개국 25개 공관
아프리카 거버넌스 이브라힘 지수
아프리카 거버넌스 이브라힘 지수 테이블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47.9 48 48 48.6 48.7 48.8 49 48.8 48.9 48.9
아프리카 거버넌스 이브라힘 지수 테이블
2012 2013 2014 2015 2016
47.9 48 48 48.6 48.7
2017 2018 2019 2020 2021
48.8 49 48.8 48.9 48.9
* 아프리카 거버넌스 이브라힘 지수 (IIAG, Ibrahim Index of African Governance)는 아프리카 국가의 거버넌스 성과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안전 및 법치, 참여정도 및 인권, 지속가능한 경제기회, 인간개발 4가지 영역에서 계량화한 척도로 100에 가까울수록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냄
경제
아프리카 경제성장률 추이
(단위: %)
이미지설명
(출처: '24, IMF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아프리카 국내총생산(GDP) 추이
(단위: 미화 억 달러)
이미지설명
(출처: '24, IMF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명목GDP(current prices) 기준
대륙 전체 교역규모
(단위: 백만 달러)
교역 테이블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수출 597,330 570,579 403,199 366,356 434,954 512,301 482,660 396,761 563,614 658,261 598,222
수입 650,395 655,103 569,798 503,792 523,595 588,762 596,030 489,664 614,955 748,806 691,002
합계 1,247,725 1,225,682 972,997 870,148 958,549 1,101,063 1,078,690 886,425 1,178,569 1,407,067 1,289,224
(출처: '24, WTO)
이미지 설명 이미지 설명
FDI 유입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UNCTAD World Investment Report 2024)
자원
매장량('20년)
(단위: 억 배럴)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1,253억 배럴
※ 세계 매장량 16,619억 배럴의 약 7.5%
일일 생산량('22년)
(단위: 억 배럴)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65억 배럴
※ 세계 생산량 817억 배럴의 약 8.2%
일일 소비량('22년)
(단위: 억 배럴)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44억 배럴
※ 세계 소비량 998억 배럴의 약 4.4%
대륙별 원유 매장량('21년)
(단위: 억 배럴)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23,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대륙별 원유 생산량 및
소비량 ('22년)
(단위: 백만 배럴/일)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24,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아프리카 국가의
원유 매장량('21년)
(순위: 아프리카(세계), 단위: 십억 배럴)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22,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아프리카 국가의
원유 생산량('22년)
(순위: 아프리카(세계), 단위: 백만 배럴/일)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24,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매장량
('21년)
(단위: 조 입방피트(Tcf))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626조 입방피트
※ 세계 매장량 7,257조 입방피트의 약 8.6%
생산량
('22년)
(단위: 십억 입방피트(Bcf))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8조 746십억 입방피트
※ 세계 생산량 145조 68십억 입방피트의 약 6.0%
연간 소비량
('22년)
(단위: 십억 입방피트(Bcf))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5조 745십억 입방피트
※ 세계 소비량 140조 99십억 입방피트의 약 4.0%
대륙별 천연가스 매장량('21년)
(단위: 조 입방피트(Tcf))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22,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대륙별 천연가스
생산량 및 소비량('22년)
(단위: 십억 입방피트(Bcf))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24,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아프리카 국가의
천연가스 매장량('21년)
(순위: 아프리카(세계),
단위: 조 입방피트(Tcf))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22,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아프리카 국가의
천연가스 생산량('22년)
(순위: 아프리카(세계),
단위: 십억 입방피트(Bcf))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출처: '24,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아프리카 국가의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
('24년 추정)
아프리카 국가의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21년 추정) 테이블
광물명 국가명 국가매장량 세계매장량 세계 순위
다이아몬드
Diamond
(Industrial)
보츠와나 280만 1,700만 캐럿 2
앙골라 150만 3
콩고민주공화국
남아공 95만 5
구리 (정제)
Copper (Refinery)
콩고민주공화국 8,000만 10억 톤 5
잠비아 2,100만 11

Gold
남아공 5,000 59,000톤 3
가나 1,000 10
말리 800 11
탄자니아 420 13
리튬
Lithium
짐바브웨 31만 2,800만 톤 7
망간
Manganese
남아공 6억 19억 톤 1
가봉 6,100만 6
가나 1,300만 8
바나듐
Vanadium
남아공 75만 1,900만 톤 4
백금속 원소
Platinum-
Group
Metals(PGM)
남아공 6,300만 7,100만 킬로그램 1
짐바브웨 120만 3
소다회
Soda Ash
에티오피아 4억 250억 톤 3
보츠와나 1,600만 4
케냐 700만 5
인광석
Phosphate
rock
모로코 500억 740억 톤 1
이집트 28억 3
튀니지 25억 4
알제리 22억 6
남아공 15억 8
세네갈 5,000만 21
토고 3,000만 22
주석
Tin
콩고민주공화국 12만 430만 톤 9
지크로늄 · 하프늄
Zirconium · Hafnium
남아공 560만 7,400만 톤 3
세네갈 260만 4
마다가스카르 230만 5
모잠비크 150만 6
시에라리온 29만 8
케냐 1만 8,000 10
질석
Vermiculite
남아공 1억 4천 톤 N/A 2
천연 흑연
Graphite
(Natural)
모잠비크 2,500만 2억 8,000만 톤 3
마다가스카르 2,400만 4
탄자니아 1,800만 12
코발트
Cobalt
콩고민주공화국 600만 1,100만 톤 1
마다가스카르 10만 8
크롬
Chromium
남아공 2억 5억 6,000만 톤 2
티타늄 정광
Titanium Mineral Concentrates
티탄철석
Ilmenite
남아공 2,800만 6억 9,000톤 7
마다가스카르 2,700만 8
모잠비크 2,200만 9
케냐 13만 13
금홍석
Rutile
남아공 610만 7억 5,000톤 3
시에라리온 290만 4
모잠비크 72만 6
마다가스카르 52만 7
케냐 7만 8
헬륨
Helium
알제리 1,800만 입방미터 N/A 2
형석
Fluorspar
남아공 41만 260만 톤 4
회토류 원소
산화물
Rare Earths
탄자니아 89만 1억 1,000만 톤 9
남아공 79만 11
(출처: '22 USGS Mineral Commodity Summeries)
아프리카 국가의 주요 광물자원 생산량
('24년 추정)
아프리카 국가의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21년 추정) 테이블
광물명 국가명 국가생산량 세계생산량 세계 순위
고정 질소 - 암모니아
Nitrogen
(Fixed Ammonia)
이집트 400만 1억 5,000만 톤 7
알제리 260만 12
나이지리아 160만 16
다이아몬드
Diamond
(Industrial)
보츠와나 700만 4,500만 캐럿 2
콩고민주공화국 800만 3
남아공 600만 4
앙골라 100만 6
가넷
Garnet (Industrial)
남아공 18만 97만 3
구리 (정제)
Copper (Refinery)
콩고민주공화국 250만 2,200만 톤 3
잠비아 76만 9

Gold
남아공 100 3,000톤 9
가나 90 10
부르키나파소 60 11
말리
탄자니아
남정석 및 관련 광물
Kyanite and related minerals
남아공 17만 톤 NA 1
리튬
Lithium
짐바브웨 3,400 18만 톤 6
망간
Manganese
남아공 720만 2,000만 톤 1
가봉 460만 2
가나 84만 4
코트디부아르 39만 8
바나듐
Vanadium
남아공 9,100 10만 톤 3
백금족 광물
Platinum-Group Minerals
팔라듐
Palladium
남아공 7만 1,000 21만 킬로그램 2
짐바브웨 1만 5,000 4
백금
Platinum
남아공 12만 18만 킬로그램 1
짐바브웨 1만 9,000 3
베릴륨
Beryllium
모잠비크 24 330톤 4
마다가스카르 1 5
르완다
우간다
보석류
Gemstones
보츠와나 170억 740억 불 2
앙골라 79억 4
남아공 38억 4
콩고민주공화국 20억 6
나미비아 7억 3,000만 7
시에라리온 5억 5,000만 8
짐바브웨 4억 4,000만 9
탄자니아 3억 2,000만 10
기니 1억 12
레소토
보크사이트-알루미나
Bauxite and Alumina
보크사이트
Bauxite
기니 33만 1억 4,000만 톤 18
알루미나
Alumina
기니 9,700만 1억 4,000만 톤 5
부석
Pumice and Pumicite
우간다 150만 1,800만 톤 2
알제리 90만 5
에티오피아 51만 10
카메룬 28만 12
탄자니아 23만 14
비소
Arsenic
모로코 8,000 6만 톤 3
석고
Gypsum
알제리 250만 1억 6,000만 톤 12
석회
Lime
남아공 120만 4억 3,000만 톤 18
소다회
Soda Ash
케냐 28만 6,500만 톤 2
보츠와나 27만 3
에티오피아 2만 4
시멘트
Cement
이집트 5,000만 41억 톤 12
인광석
Phosophate rock
모로코 3,500만 2억 2,000만 톤 2
이집트 480만 8
튀니지 360만 10
세네갈 250만 11
알제리 180만 13
남아공 160만 14
토고 150만 15
플러토
Clay(Fuller's earth)
세네갈 12만 430만 톤 4
주석
Tin
콩고민주공화국 1,900만 2억 9,000만 톤 5
나이지리아 810만 8
르완다 380만 11
중정석
Bartie
모로코 120만 850만 톤 3
지르코늄-하프늄
Zirconium-Hafnium
남아공 40만 160만 톤 2
모잠비크 9만 5
세네갈 5만 6
케냐 3만 7
마다가스카르
시에라리온
질석
Vermiculite
남아공 16만 50만 톤 1
짐바브웨 4만 5,000 4
우간다 3만 10
천연 운모
Mica(Natural)
마다가스카르 5만 33만 톤 3
천연 흑연
Graphite(Natural)
마다가스카르 10만 160만 톤 2
모잠비크 9만 6,000 3
탄자니아 6,000 11
코발트
Cobalt
콩고민주공화국 17만 23만 톤 1
마다가스카르 4.000 5
크롬
Chromium
남아공 1,800만 4,100만 톤 1
탄탈룸
Tantalum
콩고민주공화국 980 2,400 톤 1
르완다 520 2
나이지리아 110 5
부룬디 36 8
텅스텐
Tungsten
르완다 1,400 7만 8,000 톤 6
텔루르
Tellurium
남아공 5 640 톤 5
티타늄
Titanium Mineral Concentrates
티탄철석
Ilmentie
모잠비크 160만 860만 톤 2
남아공 100만 3
세네갈 34만 7
마다가스카르 32만 8
케냐 14만 11
금홍석
Rutile
시에라리온 11만 920만 톤 2
남아공 10만 3
케냐 5만 8,000 4
모잠비크 9천 8
세네갈 8천 9
헬륨
Helium
알제리 1,000만 1억 7,000만 입방미터 4
형석
Fluorspar
남아공 41만 880만 톤 4
회토류 원소 산화물
Rare Eaths
마다가스카르 960 35만 톤 8
(출처: '22 USGS Mineral Commodity Summeries)
수력('22년)
165,506 기가외트시
※ 세계 생산량 4,471,452 기가와트시의 약 3.7%
아프리카 국가의
수력 발전 현황
('20년~'22년)
(단위: 기가와트시(Gwh),
생산량 기준)
아프리카 국가의 수력 발전 현황('20년~'22년) 테이블
아프리카 2020 2021 2022
153,595 160,709 165,506
아프리카 국가별 수력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가나7,2937,5218,192
가봉982982982
기니1,4932,6452,947
나미비아1,2378751,052
나이지리아7,8729,1549,235
남수단---
남아프리카공화국6,0956,5607,975
라이베리아128128128
레소토426531480
르완다522557516
마다가스카르850800855
말라위1,6761,6941,694
말리1,7021,7021,702
모로코1,2901,213679
모리셔스117108130
모리타니아---
모잠비크15,71415,47716,184
베냉000
부룬디270256256
부르키나파소11212782
상투메 프란시페666
세네갈---
아프리카 국가별 수력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수단11,00810,06110,061
시에라리온228228228
알제리50916
앙골라13,80213,80213,802
에스와티니231259297
에티오피아14,40414,94314,882
우간다4,0064,2974,848
이집트15,03814,64615,458
잠비아12,87916,14717,130
적도기니127127127
중앙아프리카공화국141141141
짐바브웨3,8816,0185,974
카메룬5,2335,2335,233
케냐4,0213,8613,100
코모로---
코트디부아르3,3762,6272,864
콩고1,0461,0461,046
콩고민주공화국12,56413,24213,303
탄자니아3,2293,2313,232
토고758618
튀니지462815
 
(출처: IRENA 2024)
풍력('22년)
12,996 기가와트시
※ 세계 생산량 2,098,332 기가와트시의 약 0.61%
아프리카 국가의
풍력 발전 현황
('20년~'22년)
(단위: 기가와트시(Gwh),
생산량 기준)
아프리카 국가의 풍력 발전 현황('20년~'22년) 테이블
아프리카 2020 2021 2022
10,742 12,737 12,996
아프리카 국가별 풍력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가나000
감비아222
나미비아222222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300266224
마다가스카르000
모로코4,6075,1225,371
모리셔스181515
모리타니아131131131
세네갈179400396
세이셸657
아프리카 국가별 풍력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소말리아666
알제리81116
에리트레아111
에티오피아609817561
이집트4,2455,2695,677
지부티-6969
차드999
카보베르데647474
케냐518385
탄자니아444
튀니지 465425322
(출처: IRENA 2024)
태양광('22년)
22,463 기가와트시
※ 세계 생산량 1,294,481 기가와트시의 약 1.73%
아프리카 국가의
태양광 발전 현황
('20년~'22년)
(단위: 기가와트시(Gwh),
생산량 기준)
아프리카 국가의 태양광 발전 현황('20년~'22년) 테이블
아프리카 2020 2021 2022
17,423 21,047 22,463
아프리카 국가별 태양광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가나687479
가봉011
감비아333
기니232323
기니비사우333
나미비아403419452
나이지리아78108151
남수단344
남아프리카공화국7,7358,6948,329
니제르242424
라이베리아345
레소토111
르완다353636
리비아888
마다가스카르404080
말라위101012
말리98145119
모로코1,5471,8481,475
모리셔스152156157
모리타니아145145119
모잠비크487170
베냉7811
보츠와나666
부룬디322
부르키나파소909393
상투메프란시페000
세네갈288380424
아프리카 국가별 태양광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세이셸91920
소말리아173066
수단2828126
시에라리온92121
알제리816793835
앙골라22405
에리트리아504847
에스와티니000
에티오피아323434
우간다128140137
이집트4,4534,9715,003
잠비아163161159
적도기니000
중앙아프리카공화국000
지부티111
짐바브웨215676
차드233
카메룬193636
카보베르데7772
케냐144420578
코트디부아르81012
콩고171,0552,114
콩고민주공화국111
탄자니아303436
토고1573103
튀니지346480539
 
(출처: IRENA 2024)
바이오에너지('22년)
3,224 기가와트시
※ 세계 생산량 618,916 기가와트시의 약 0.52%
아프리카 국가의
바이오에너지 발전 현황
('20년~'22년)
(단위: 기가와트시(Gwh),
생산량 기준)
아프리카 국가의 바이오에너지 발전 현황('20년~'22년) 테이블
아프리카 2020 2021 2022
3,109 3,147 3,224
아프리카 국가별 바이오에너지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가나201920
가봉11-
나미비아00-
나이지리아416161
남아프리카공화국410405405
르완다222
마다가스카르111
말라위495151
말리373737
모로코404040
모리셔스408369300
모잠비크1057865
부룬디666
부르키나파소111
세네갈666767
아프리카 국가별 바이오에너지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수단103107107
시에라리온9910
앙골라200200200
에스와티니191203187
에티오피아27168
우간다295374471
이집트236277350
잠비아747979
짐바브웨153110113
차드889
케냐195195195
콩고888
콩고민주공화국323232
탄자니아151152152
 
(출처: IRENA 2024)
지열('22년)
5,354 기가와트시
※ 세계 생산량 96,878 기가와트시의 약 5.52%
아프리카 국가의
지열 발전 현황
('20년~'22년)
(단위: 기가와트시(Gwh),
생산량 기준)
아프리카 국가의 지열 발전 현황('20년~'22년) 테이블
아프리카 2020 2021 2022
5,385 5,124 5,354
아프리카 국가별 지열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에티오피아--29
아프리카 국가별 지열 발전 현황('20년~'22년)
국가 2020 2021 2022
케냐5,3855,1245,325
(출처: IRENA 2024)
우리나라와의 관계
수교 및 공관 현황
수교 및 공관 현황 테이블
국가 수교일 상주공관(개설일) 우리공관장 주한공관(개설일) 주한공관장
가나 1977.11.14 주가나 대사관
(1978.05.04)
박경식 대사 주한 가나 대사관
(1999.11.08)
아크와시 아바이에 아도마코(Akwasi Abayie Adomako) 대사대리
가봉 1962.10.01 주가봉 대사관
(1973.05.10)
신송범 대사 주한 가봉 대사관
(1975.06.26)
란드리 음범바(Landry MBOUMBA) 대사내정자(Ambassador-designate)
감비아 1965.04.21 주세네갈대사 겸임 주세네갈(대) 겸임
(권혁운 대사)
주중국대사 겸임 주중국(대) 겸임 (마산네 뉴쿠 킨테(Masanneh Nyuku Kinteh))
기니 2006.08.28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겸임 (센쿤 실라(Senkoun Sylla) 대사)
기니비사우 1983.12.22 주중국대사 겸임 주중국(대)겸임 (안토니오 세리포 엠발로(António Serifo Embaló))
나미비아 1990.03.21 주앙골라대사 겸임 주앙골라(대) 겸임
(최광진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 겸임 (모벤 마수소 루스웬요(Morven Masuso Luswenyo))
나이지리아 1980.02.22 주나이지리아 대사관
(1980.03.08.)
김판규 대사 주한 나이지리아 대사관
(1987.12월)
이넥스 오마모케 자호허버트(Inex Omamoke Jaho-Herbert) 대사대리
주라고스 분관
(2006.11.03)
남수단 2011.07 주우간다대사 겸임 주우간다(대) 겸임
(박성수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먼데이 세마야 케네스 쿰바(Monday Semaya Kenneth KUMBA) 대사
남아프리카공화국 1933.12.01 주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관
(1993.03.05)
양동한 대사 주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관
(1993.02월)
신디스와 은톰볼리모 음쿠쿠 (Sindiswa Ntombolimo MQUQU) 대사
니제르 1961.07.27 주코트디부아르대사 겸임 주코트디부아르(대) 겸임
(김생 대사)
*'85.01 상주공관 개설, '89.05 폐쇄
주중국 대사관 겸임 주중국(대) 겸임 (세이니 가르바(Garba Seyni) 대사)
"ㄷ"에 해당하는 목록이 없습니다.
라이베리아 1964.03.18 주나이지리아대사 겸임 주나이지리아(대) 겸임
(김판규 대사)
*'73.07 상주공관 개설, '92.03 폐쇄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 겸임
(브라모 넬슨(Blamoh Nelson)
*'83 주한 상주공관 설치, '91.09 폐쇄
레소토 1966.12.07
*'83.06.27~'86.02.02 외교관계 정지
주남아프리카공화국대사 겸임 주남아공(대) 겸임
(양동한 대사)
주일본(대) 겸임 (팔레사 모세체(Palesa Mosetse) 대사)
르완다 1963.03
*'75.05.31~'87.09.10 외교관계 정지
주르완다 대사관
(2011.05.11.)
정우진 대사 주한 르완다 대사관
(2009.03.30)
은쿠비토 만지 바쿠라무트사 (Nkubito Manzi BAKURAMUTSA) 대사
리비아 1980.12.29 주리비아 대사관
(1981.03.02)
장제학 대사 주한 리비아 대사관
(1981.11.26)
요세프 벤 (Yossuf M.M. BEN YOUSSUF) 대사대리
마다가스카르 1962.06.25
*'72.07 관계 단절, '93.05 관계정상화, '16.07 상주공관 개설
주마다가스카르 대사관
(2016.07.05)
박지현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공석
말라위 1965.03.09 주짐바브웨대사 겸임 주짐바브웨(대) 겸임
(박재경 대사)
주일본(대) 겸임 (콰차 치시자(Kwacha Chisiza))
말리 1990.09.27 주세네갈대사 겸임
(1991.10)
주세네갈(대) 겸임(권혁운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1993.12)
주일본(대)겸임 (니나 우월렛 인탈루(Nina Oualet INTALLOU))
모로코 1962.07.06 주모로코 대사관
(1962.09.06)
윤연진 대사 주한 모로코 대사관
(1988.12.01)
Chafiq Rachadi (샤피크 라샤디) 대사
모리셔스 1971.07.03 주마다가스카르대사 겸임 주마다가스카르(대) 겸임
(박지현 대사)
*'85 상주공관 개설, '92 폐쇄
주중국대사 겸임 주중국(대)겸임 (마리 롤랑드 알랭 웡 옌 청(Marie Roland Alain WONGD YEN CHEONG))
모리타니아 1963.07.30
*'64.12.10 단교, '78.12.18 재수교
주모로코대사 겸임 주모로코(대) 겸임
(윤연진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겸임(시디야 엘 하지 (Sidya El Hadj))
모잠비크 1993.08.11 주모잠비크 대사관
(2013.10.31)
강복원 대사 공석
베냉 1961.08.01
*'75.10 베냉측 단교 통보, '90.10 재수교
주가나대사 겸임 주가나(대) 겸임
(박경식 대사)
주중국대사 겸임 주중국(대)겸임 (시몽 피에르 아도벨랑드(Simon Pierre ADOVELANDE))
보츠와나 1968.04.18 주남아프리카공화국대사 겸임 주남아공(대) 겸임
(양동한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겸임 (호칠레네 모라케(Gotsileene Morake))
부룬디 1991.10.03 주르완다대사 겸임 주르완다(대) 겸임
(정우진 대사)
주중국대사 겸임 주중국(대)겸임 (텔레스포어 이람보나(Telesphore Irambona))
부르키나파소 1962.04.20 주코트디부아르대사 겸임 주코트디부아르(대) 겸임
(김생 대사)
*'85 상주공관 개설, '89 폐쇄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겸임 (파스칼 바쵸보(Pascal BATJOBO) 대사)
상투메프린시페 1988.08.20 주가봉대사 겸임 주가봉(대) 겸임
(신송범 대사)
본국 외무부 관할 본국 외무부 관할
세네갈 1962.10.19 주세네갈 대사관
(1973.05.04)
권혁운 대사 주한 세네갈 대사관
(2007.08.02)
압두 살람 디알로 (Abdou Salam Diallo) 대사
세이셸 1976.06.28
*'80.05 단교, '95.02.02 복교
주에티오피아대사 겸임 주에티오피아(대) 겸임
(정강 대사)
주중국대사 겸임 주중국(대) 겸임 (앤 라포춘(Anne LAFORTUNE))
소말리아 1987.09.25 주케냐대사 겸임 주케냐(대) 겸임
(여성준 대사)
*'87.12.31 상주공관 개설, '92.03.31 폐쇄
공관 부재 공관 부재
수단 1977.04.13 주수단 대사관
(1977.04.13)
남궁환 대사 주한 수단 대사관
(1990.11.02)
아미라 아가립 (Amira Agarib) 대사
시에라리온 1962.06.25 주나이지리아대사 겸임 주나이지리아(대) 겸임
(김판규 대사)
주한 시에라리온 대사관
(2014.02.05)
폴 소바 마사쿠이(Paul Sobba Massaquoi) 대사
알제리 1990.01.15 주알제리 대사관
(1990.03.31)
유기준 대사 주한 알제리 대사관
(1992.10.08)
모하메드 벤사브리 (Mohammed Bensabri) 대사
앙골라 1992.01.06 주앙골라 대사관
(2007.07.19)
최광진 대사 주한 앙골라 대사관
(2008.10월)
에드가 마틴스 (Edgar Martins) 대사
에리트레아 1993.05.24 주수단대사 겸임 주수단(대) 겸임
(남궁환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 겸임 (에스티파노스 아페워르키 하일레(Estifanos Afeworki Haile))
에스와티니 1968.11.06 주모잠비크대사 겸임 주모잠비크(대) 겸임
(강복원 대사)
주말레이시아대사 겸임 주말레이시아(대) 겸임 (멘지 시포 들라미니(Menzie Sipho DLAMINI)
*'90.03 주한 상주공관 개설, '99.07 철수
에티오피아 1963.12.23 주에티오피아 대사관
(1965.03.25)
정강 대사 주한 에티오피아 대사관
(2012.04월 재개설)
데씨 달케 두카모(Dessie Dalkie DUKAMO) 대사
우간다 1963.03.26 주우간다 대사관
(2011.12.30 개설)
박성수 대사
*'63.04 상주공관 개설, 94.10 폐쇄, '11.12.30 재개설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 겸임(토파스 카화(Tophace KAAHWA))
이집트 1995.04.13 주이집트 한국 대사관 개설
(1995.04.13.)
김용현 대사 주한 이집트 대사관
(1995.06.08)
칼리드 압델라흐만 (Khaled Abdel Rahman)
잠비아 1990.09.04 주짐바브웨대사 겸임 주짐바브웨(대) 겸임
(박재경 대사)
주한 잠비아 대사관
(2014.06.23)
앤드류 브웨자니 반다 (Andrew Bwezani Banda) 대사
적도기니 1979.09.14 주가봉겸임 / 주적도기니대사관 말라보분관개설 2012.05.25. 주가봉(대) 겸임
(신송범 대사)
*'12.05 주말라보 분관 개설(우홍구 대사대리)
주중국대사 겸임 주중국(대) 겸임 (모리시오 마우로 엡쿠아 오바마 빈당(Mauricio Mauro EPKUA OBAMA BINDANG) 대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1963.09.05 주카메룬대사 겸임 주카메룬(대) 겸임
(남기욱 대사)
*'71.09 상주공관 개설, '89.05 철수
본국 외교부 관할 본국 외교부 관할
지부티 1977.12.07 주에티오피아대사 겸임 주에티오피아(대) 겸임
(정강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 겸임 (이브라힘 빌레 두알레(Ibrahim Bileh Doualeh))
짐바브웨 1994.11.18 주짐바브웨 대사관
(1995.10.09)
박재경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 겸임 (스튜어트 나코토 (Stewart Nyakotyo) 대사)
차드 1961.08.06 주카메룬대사 겸임 주카메룬(대) 겸임
(남기욱 대사)
본국 외교부 관할 본국 외교부 관할
카메룬 1961.08.10 주 카메룬 대사관
(2008.09.24 재개설)
남기욱 대사
*'69.01 상주공관 개설, '98 철수, '08 재개설
주일본대사 겸임 주일본(대) 겸임 (피에르 은젠게(Pierre NDZENGUE))
카보베르데 1988.10.03 주세네갈대사 겸임 주세네갈(대) 겸임
(권혁운 대사)
주중국대사 겸임 알린도 도 로사리오(Arlindo DO ROSARIO)
케냐 1964.02.07 주 케냐 대사관
(1964.02.07)
여성준 대사 주한 케냐 대사관
(2007.07월)
에미 제로노 킵소이(Emmy Jerono KIPSOI)
코모로 1979.02.19 주마다가스카르대사 관할 주마다가스카르(대) 겸임
(박지현 대사)
주중국대사 겸임 주중국(대) 겸임(샤리프 마울라나(Charif Maoulana))
코트디부아르 1961.07.23 주코트디부아르 대사관
(1966.02.16.)
김생 대사 주한 코트디부아르 대사관
(1997.06월)
알루 완유 외젠 비티 (Allou Wanyou Eugene Biti) 대사
콩고 1961.08.21
*'65.05 단교, '90.06.16 재수교
주콩고민주공화국대사 겸임 주콩고(대) 겸임
(정홍근 대사)
주중국대사 겸임 자크 장 뤽 은양가(Jacques Jean Luc NYANGA) 대사
콩고민주공화국 1963.04.01 주콩고민주공화국 대사관
(2008.07.03 재개설)
정홍근 대사 주한 콩고민주공화국 대사관
(1990.07월)
크리스티안 아토키 일레카 (Christian ATOKI ILEKA) 대사
탄자니아 1992.04.30 주탄자니아 대사관
(1992.10.21)
안은주 대사 주한 탄자니아 대사관
(2018.01.31)
애드리스 마부라 (Edriss Mavura) 대사
토고 1963.07.26
*'74.09.17 단교, '91.01.23 재수교
주가나대사 겸임 주가나(대) 겸임
(박경식 대사)
주일본대사 겸임 공석
튀니지 1969.03.31 주튀니지 대사관
(1969.03.31)
이태원 대사 주한 튀니지 대사관
(1990.10.11)
카이스 다라지 (Kais DARRAGI)대사
"ㅍ"에 해당하는 목록이 없습니다.
"ㅎ"에 해당하는 목록이 없습니다.
(출처: '24년 12월 외교부,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교역
(단위: 백만 달러)
* 우리나라 전체 교역액 1조 1,451억 달러('22년) 대비 對아프리카 교역액은 약 204.5억 달러로 약 2% 비중 차지
교역 테이블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수출 11,083 9,808 7,449 8,722 7,427 6,314 6,206 5,735 9,022 11,132 9,115
수입 5,790 8,053 5,548 4,562 5,350 6,133 4,929 4,172 6,816 9,323 7,482
무역수지 5,293 1,755 1,900 4,160 2,077 181 1,277 1,562 2,206 1,808 1,633
총교역액 16,873 17,861 12,997 13,284 12,777 12,447 11,135 9,907 15,838 20,455 16,957
(출처: '24, 한국무역협회)
이미지 설명 이미지 설명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