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아프리카 대륙 대선 동향 (2) 2021년 4월 30일 (금) | 2021-06호
|
|
아프리카 위클리-06 2021년 아프리카 대선 동향 (2) |
|
- 아프리카 위클리는 한 주간의 주요 이슈나 기사를 좀 더 심도있게 다루기 위해 신설된 코너입니다.
-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기존과 같이 아프리카 투데이를 제공하고 금요일에는 아프리카 위클리를 통해 주간의 주요한 아프리카 뉴스와 이슈를 선정하여 좀 더 심도있게 소개할 예정입니다.
|
|
아프리카대륙의 선거, 민주주의의 꽃인가 독인가?
지난 주 위클리에서는 2021년 4월까지 실시된 각 국의 선거를 소개하면서 아프리카 민주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그 특징도 함께 알려 드렸습니다. 이번 주에는 아프리카 선거의 특징과 논쟁을 함께 살펴보고 2021년 향후 예정된 주요 선거들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
지난 주에 언급하였듯이 아프리카 각 국가는 1990년대를 거치면서 대부분 다당제를 도입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다양한 형태의 선거가 치러지고 유권자들은 자신들을 대의할 후보자들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프리카 전통과 문화를 배제하고 서구 민주주의가 강제로 이식된 역사적 특수성과 국가경제 및 거버넌스 취약으로 소수권력이 경제를 장악하는 권력독점 및 권력에 대한 폭력적 투쟁현상 등의 어려움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은 초기 단계의 형식적인 민주주의가 실질적인 민의를 반영하는 정치제도로 발전하는데 저해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프리덤하우스 2021년 통계1) 기준에 따르면 아프리카 55개국 중 단 8개국(튀니지, 남아공, 세이셸, 나미비아, 모리셔스, 가나, 보츠와나, 상투메프린시페)만이 정치적으로 자유롭다고(free) 평가받았고 나머지 국가들은 모두 부분적이거나(partly free) 온전히 자유롭지 못한(not free)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1990년대 이후 도입된 다당제에 기초한 민주주의 선거의 실행에도 불구하고 왜 이런 혹독한 평가를 받고 있을까요? 과연 아프리카에서 선거가 민주주의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일까요?
**
아프리카 정치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아프리카 정치에서 선거가 과연 민주주의 제도의 발전을 가지고 오는지 아니면 오히려 정치적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지난 15년 동안 논쟁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의 선거 효용에 대한 논쟁의 시발점이 되는 ‘아프리카의 민주주의와 선거(2006)’2)에서 저자 린드버그(Staffan I. Lindberg)는 선거 효용성에 대해 옹호하고 있습니다. 그는 아프리카에서 실시되는 선거가 현실적으로 자유롭지 못하거나 민주주의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할 지라도 선거를 거듭하면서 점진적으로 민주주의의 가치가 내재화되어 결국 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한편 다른 학자들은 기준에 맞게 잘 치러진 선거들의 경우 민주주의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동의하면서도, 부정선거나 부패가 깊게 연루된 선거들은 오히려 민주주의의 후퇴를 가져온다고 반론을 펴기도 합니다. 특히 케냐의 모이(Daniel arap Moi)정부는 야당을 제압하기 위해 다당제 투표를 실시하여 종족간 분쟁을 지원 및 유도하면서 ‘분리통치(divide-and-rule)’를 획책하였습니다. 그 결과 2007년 선거 실시 이후 불만을 품은 종족들이 폭동을 일으켜 1,000여명이 사망하고 10만명 이상이 피난길에 올랐습니다. 선거가 민주주의 퇴행을 가져오게 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3)
린드버그는 이런 반론을 수용하면서 2015년까지의 새로운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프리카의 선거가 제한된 몇 사례에서만 민주화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대부분 권위주의적인 환경에서 실시되는 다당제 선거는 복잡하고(complex) 균일하지 않은(uneven) 결과를 보여준다고 논지를 수정하였습니다.4) 특히 특정선거를 분석해보면 선거 이후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 효과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간다의 무세비니(Yoweri Museveni) 정권 하에 치러진 선거는 선거기간 동안 야당지도자들에 대한 압박, 부정선거종용 등 파행을 겪어 유권자가 무력해졌습니다(disempowered). 그러나 유권자들이 각 정당의 선거캠페인을 통해 기존에 알지 못했던 후보자나 정당에 대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들을 습득하게되면서 정치적 역량이 강화되는(empowered) 긍정적인 현상도 볼 수 있었습니다.5)
또 다른 한편, 서구에서 수입된 다당제 선거의 논쟁을 넘어 아프리카의 민주주의제도는 아프리카화(Africanized)되어야한다는 주장을 펼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특히 나이지리아 출신의 영향력있는 학자인 아케(Cladue Ake)는 서구에서 탄생한 민주주의는 보편주의(Universalism)를 지향하는데 이런 보편적 가치 조차도 서구 역사적으로 특수하게 형성된 것이고 이는 현대아프리카의 현실과는 매우 먼 이야기라며 아프리카의 특수성을 강조합니다.6) 특히 서구 근대의 합리적 개인주의나 자본주의 하에서 형성된 계급정체성 등은 아프리카의 종교, 종족, 지역 단위로 형성된 공동체 정체성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아케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정치제도와 정당들이 종족집단들의 이익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이는 종족 정체성이 아프리카에서 집단 이익을 대변하는 가장 효율적인 사회정체성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종족 정체성을 정치도구화하여 권위적인 집권의 정당화도구로 쓰이는 일이 흔하기 때문에 “민주주의는 주어진 현실에서 재창조되어야하며 새로운 정치제도는 문화적 맥락에 부합하면서도 고유의 가치와 원칙을 훼손해서는 안된다”고 아케는 강조합니다.
결국 아프리카의 선거 그리고 더 나아가 아프리카의 정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치의 구조(structure)적이고 제도(institution)적인 측면(다당제, 선거, 법치, 권력분립 등의 민주주의 원칙과 제도)만 분석해서는 안된다고 석학들은 주장합니다. 그 뿐아니라 각각의 정치행위자(리더, 엘리트정치인, 종족대표, 시민사회 주도세력, 국외행위자 등)들간의 관계, 태도, 전략, 담론 등 선거를 통해 이루어지는 ‘아프리카 국가정치의 일상적 행위’(everyday practices of the African state)도 분석하고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아프리카 대륙의 정치적 '통치성(governmentality)'을 이해할 수 있다고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7)
2) Staffan I. Lindberg, Democracy and Elections in Africa (Johns Hopkins Press, Baltimore, MD, 2006).
3) Sarah Jenkins, ‘Ethnicity, Violence, and the Immigrant-Guest Metaphor in Kenya’, African Affairs 111, 445 (2012).
4) Carolien van Ham and Staffan I. Lindberg, ‘Elections: Reassessing the Power of Elections in Multiparty Africa’, in Nic Cheeseman (ed.), Institutions and Democracy in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Jeffrey Conroy-Krutz, ‘Electoral Campaigns as Learning Opportunities: Lessons from Uganda’, African Affairs 115, 460 (2016).
6) Claude Ake, ‘The Unique Case of African Democracy’, International Affairs 69, 2 (1993).
7) Michel Foucault, The Birth of Biopolitics: Lectures at the College de France, 1978-1979 (Palgrave Macmillan, Basingstoke, 2008), Jean-Francois Bayart, The State in Africa: The Politics of the Belly, 2nd edition (Polity, Cambridge, 2009), Achille Mbembe, Necro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19).
***
오늘 위클리에서는 에티오피아, 상투메프린시페, 잠비아, 카보베르데, 감비아, 리바아의 대선 및 총선에 대한 일정과 주요 현안을 소개합니다. 향후 해당국가들의 정치변화를 이해하는데 길라잡이 역할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이후 아프리카 투데이를 통해 아프리카 각국의 선거와 각 해당 국가의 정치현안과 사건들을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뉴스구독을 통해 독자분들이 아프리카 각국 정치의 단편적인 사실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 주요 정치행위자들의 ‘일상적 정치’를 파악하시고 아프리카 정치의 구조를 좀 더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
- 에티오피아 총선(6.5) : 민주주의, 국가통합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 정치 체제
- 총리 실권의 의원 내각제 : 국가 원수는 대통령(임기 6년, 1회 연임 가능)이나, 실질적 국정 권한은 행정부 수반인 총리(임기, 연임 제한 없음)가 가짐 - 입법부 : 양원제, 하원 547석(직선제, 임기 5년), 상원 153석(주의회에서 선출, 임기 5년)
에티오피아 총선은 2021년 아프리카 선거 중 가장 주목받는 선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총선은 본래 2020년 5월에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연기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지방 세력인 티그라이해방전선(TPLF,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가 독재체제를 구축하려는 아비(Abiy Ahmed) 총리의 속셈이라고 주장하며 티그라이주 자체 선거를 진행한 것이, 현재 진행 중인 티그라이 사태의 폭발점이 되었습니다1).
금번 총선은 에티오피아 역사상 첫 번째로 다수의 정당들이 참가하는 선거가 될 예정입니다. 현재 에티오피아 의회에는 100개가 넘는 정당들이 존재하는데, 이들 대부분이 직접 선거에 참여해본 경험이 없습니다. 이들이 어떻게 움직일지 아직 예측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아프리카전략연구소(Africa Center for Strategic Studies)는 금번 총선에서 지방정부와 연방정부 간의 적절한 힘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주요 사항이라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동 연구소는 금번 선거로 에티오피아 중앙 정부가 지방정부와의 권력 공유를 추구함과 동시에 국가라는 정체성과 통합을 강화하지 않으면, 티그레이 사태에서도 보았듯이 통합국가로서의 에티오피아는 위기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2).
에티오피아 선거관리위원회 측은 10월 차기 총선 개최를 위한 준비 작업(투표함, 유권자 등록 양식, 투표소 5만개 설치 등)이 진행 중이며, 지금까지 준비가 90% 완료되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선관위 발표에 따르면 총 78개 정당에서 후보 등록을 진행할 것으로 보이며, 유권자는 5천만 명 이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3).
|
|
- 상투메프린시페 대선(7월) : 안정적인 대선 진행 예상
- 정치 체제
- 이원집정제 : 직선제 (총리의 경우 대통령이 임명, 임기 5년, 중임제 ) - 입법부 : 단원제, 총 55석
상투메프린시페는 안정적인 다당 민주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민주적이고 평화로운 정권 교체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안정적인 대선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0년 11월 상투메프린시페 국회는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일부 선거법을 개정하였습니다. 이 중 논란이 된 부분은 “해외에서 태어난 국민의 대통령 후보 출마 자격 박탈, 선거일을 기준으로 180일 이상 해외에서 체류한 이력이 있는 자는 대통령 후보 출마 자격 박탈"(기존법은 선거일로부터 3년 이상)항목입니다. 여당 독립민주당(ADI, Independent Democratic Action)은 상기 개정안이 가봉에서 출생하여 최근 2년 간 해외 체류 중인 트로보아다(Patrice Trovoada) ADI 당대표의 대선 출마를 저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며 반발하였습니다1)*. 결국 카르발류(Evaristo Carvalho) 대통령의 저지로 국회는 2021년 2월 국내 의무거주 기준 삭제 등을 반영한 선거법 개정안을 다시 의결하였습니다. 또한 금번 개정으로 해외 거주 교민들도 투표가 가능해질 예정입니다2).
* 그러나 트로보아다 前 총리는 부패 혐의로 포르투갈에 자발적 망명 중이라 출마가 불분명한 상황입니다. 카르발류(Evaristo Carvalho) 現 대통령은 재출마가 가능합니다.
|
|
- 잠비아(8.12) 대선/총선 : 대선, 악화되는 경제 상황의 돌파구가 될 것인가
- 정치 체제
- 대통령제 : 직선제(임기 5년, 중임제) - 입법부: 단원제, 165석(임기 5년)
잠비아 룽구(Edgar Lungu) 대통령은 4.11일(일) 여당 애국전선(PF) 당대회에서 "8월 선거에서 승리하여 잠비아 국민들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한 개발 의제를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대선 재출마를 선언하였습니다1). 한편, 2016년 대선에도 출마한적 있는 히칠레마(Hakainde Hichilema) 국가개발연합당(UPND, United Party for National Development) 대표는 2월 UPND를 중심으로 하는 야당 연합(UPND Alliance)을 결성하였다고 밝히고, 자신이 야당 단일 후보로 출마할 것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2). 그러나 영국 국제전문 경제조사 기관인 EIU는 3월 국가 보고서를 통해 룽구 대통령과 여당 애국전선이 어려운 경제, 정치, 사회적 도전에도 불구하고, 신뢰할만한 야당의 부재 때문에 2021년 대선에서도 승리하여 재집권 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습니다3). 잠비아 경제는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2020년 11월 잠비아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상황 악화로 유로본드 채권 중 하나에 이자를 지급할 수 없다고 밝히며, 코로나19 유행 이후 첫 번째로 국가 부도(디폴트)를 선언한 국가가 되었습니다. 잠비아 정부는 대외 부채가 2020년 12월 기준 약 127억 달러에 달한다고 발표하였으나, 세계은행은 ‘세계부채통계 2021’에서 잠비아의 대외부채가 2019년 기준 270억 달러이며, 국내국채까지 합치면 330억 달러에 이른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4)*. 일각에서는 룽구 대통령의 권위주의적인 일화들에 주시하고 있습니다. 2020년 3월 15세 소년이 페이스북을 통해 룽구 대통령을 대상으로 명예훼손을 한 혐의로 체포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야당 지도자들 역시 룽구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다수 체포되었으며, 힙합가수이자 인권운동가인 필라토(Pilato, 본명 Fumba Chamba)도 반정부 시위에 참여한 혐의로 구속된 바 있습니다5). 룽구 대통령은 2020년 8월 칼얄야(Denny Kalyalya) 중앙은행 총재를 해임하며 정확한 사유를 밝히지 않은 적도 있습니다6).
다른 예로 유명정치전문가 시슈와(Sishuwa Sishuwa)는 2021년 3월 "8월 대선 이후 잠비아가 불탈지도 모르는 이유"라는 기사를 게재하며7), 그 이유로 사법부, 선거관리위원회, 경찰 등 정부 기관에 대한 대중들의 신뢰 부재, 두 정치 엘리트 집단이 대선에 생사를 건 상황, 국제, 특히 서방측 기관들의 침묵을 들었습니다. 이에 므왐바(Emmanuel Mwamba) 주에티오피아 잠비아 대사는 잠비아 경찰총장에게 시슈아를 선동 혐의로 체포할 것을 공식 요청하였습니다8). * 잠비아 정부는 세계은행의 부채 통계는 광산 및 금융 기업 등 민간부문의 부채까지 모두 포함한 것인바, 민간부문 부채를 국가 부채에 합산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연관기사 |
|
- 카보베르데 대선(10.17) :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악화, 누구의 리더십으로 헤쳐나갈 것인가
- 정치 체제
- 의원내각제를 가미한 대통령 중심제 : 대통령 직선제(임기 5년, 중임제) - 입법부 : 단원제, 72석(임기 5년)
카보베르데는 대선으로 선출된 대통령과 총선 결과를 기반으로 지명된 총리로 구성되며, 총리가 행정권을 갖고 대통령이 중재자 역할을 하는 반(半) 의원내각제 형식의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카보베르데는 4.18일(일) 막 총선을 끝냈으며, 실바(Ulisses Correia e Silva) 총리는 여당 민주운동당(Movimento para a Democracia, MpD)이 총선에서 압도적인 승리(38석)를 거두었다고 4.19일(월) 발표하였습니다. “카보베르데의 위대한 승리”라며, “이 매우 어려운 시기에 정부의 역할과 미래를 위한 정책의 정당성을 시민들에게 납득시키는데 성공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외국인 관광에 경제의 약 1/4을 의지하고 있는 인구 55만 명의 섬나라 카보베르데는 코로나19 규제로 2020년 경제가 14.8% 위축되는 등 역사적인 불황에 빠져들었으나1), 안정적인 선거를 진행한 이력이 있어 금번에도 평화롭게 대선을 진행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 연관기사
|
|
- 감비아 대선(12.4) : 권위주의의 역사는 반복되는가
- 정치 체제
- 대통령제 : 직선제(임기 5년, 임기 제한 없음) - 입법부: 단원제, 58석(임기 5년)
94년 쿠데타로 집권한 자메(Yahya Jammeh) 대통령은 2016년 대선에서 바로우(Adama Barrow) 후보에게 패배하였으나, 대선 결과에 불복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군이 신속하게 개입하여, 결국 정권이 교체되게 됩니다. 2016년 바로우 대통령는 야당들과의 MoU를 체결하며 과도정부로서 3년만 집권하고 물러날 것을 전 국민에게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2019년, 바로우 대통령은 마음을 바꾸어 5년간 임기 수행을 지속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대통령 퇴진 요구 시위가 발생하였으나, 바로우 대통령은 계속 자리를 지켰습니다.
바로우 대통령은 2021년 1월 국민당(National People Party)을 공식 출범시켜 12월 대선 출마를 결심한 상태입니다1). 현재 감비아 헌법에 대통령의 임기를 제한하는 항목이 없기에, 감비아인들은 다시 한번 장기 집권이 도래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감비아인들이 권위주의로 회귀하는 악순환을 끊어낼 것인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연관기사 |
|
- 리비아 대선/총선(12.24) : 리비아 과도정부, 국가 재건의 기틀을 세울 수 있을 것인가
리비아 대선과 총선은 아직 미궁 속에 빠져있지만, 실마리를 잡고 천천히 나아가는 중입니다. 리비아는 2011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지원을 받은 시민군에 의해 카다피(Muammar Gaddafi)가 이끌던 독재정권이 붕괴하며 군벌들 간의 대립과 무장단체의 반란이 뒤섞인 혼란 상태로 빠져들었습니다. 2014년부터는 하프타르(Khalifa Haftar)가 이끄는 리비아국민군(LNA, The Libyan National Arab Army)와 알사라지(Fayez al-Sarraj) 총리가 이끄는 리비아통합정부(GNA,Government of National Accord)로 나뉘어 군사적 대립 상태를 이어 왔습니다1).
유엔 리비아지원단(UNSMIL, United Nations Support Mission in Libya)의 노력으로, 2020년 11월 LNA와 GNA 등 리비아 세력들은 리비아정치적대화포럼(LPDF, Libyan Political Dialogue Forum)을 통해 2021년 12월 총선과 대선을 실시하기로 합의2)하였으며 2021년 2월, 선거를 진행할 과도정부를 출범시킨 상황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여러 전문가들은 확실한 선거 진행 및 향후 정치체제에 대해 확정된 것이 없는 상황이기에 12월 대선이 실질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리비아가 시리아, 러시아, 터키, 카타르, UAE, 이집트 등 여러 나라와 정치, 군사, 경제적으로 얽혀있는 것 역시 원활한 선거 진행을 위해 해결되어야할 문제점3)으로 지적됩니다. 특히 미국은 12월 선거 진행을 위해 리비아 내 모든 외국 군대의 철수를 압박하고 있으며, 4.28일(수)에는 놀랜드(Richard Norland) 주리비아 미국대사와 솔레(Paul Soler) 프랑스 특사가 외국 부대 철수 및 선거 진행에 대해 논의4)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 연관기사
|
|
아프리카 국별 조치 현황 -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코로나19 확산 관련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조치 현황 안내 [바로가기]
|
|
kaf@k-af.or.kr (06750)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외교센터 4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