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4일 짐바브웨 하라레공과대학교(Harare Institute of Technology, HIT)에서 ‘2025년 MIKTA 세미나’가 짐바브웨 산업화와 청년 역량 강화를 주제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호주 등 MIKTA 회원국 대사와 대표들이 참석해 짐바브웨의 ‘비전 2030(Vision 2030)’ 실현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
|
하라레공과대학교에서 열린 2025년 MIKTA 세미나 |
|
|
MIKTA는 2013년 출범한 멕시코·인도네시아·한국·튀르키예·호주 다섯 나라의 협의체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잇는 중견국 외교 플랫폼이다. 군사·경제 블록이 아닌 유연한 협력체로, 지속가능한 발전과 글로벌 거버넌스 개선을 목표로 한다.
행사에서 칸후카므웨(Q.C. Kanhukamwe) 하라레공과대학 총장은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토론이 아니라 산업화를 위한 실질적인 협력의 출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인력 연수, KOICA의 온수 설비, 튀르키예 협력 조정 기구(Turkish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Agency, TIKA)의 미생물 연구실 지원 사례를 언급하며, 기술 이전과 청년 교육을 통한 산업화 모델을 제시했다. |
|
|
이어 열린 패널 토론에서 각국 대사들은 청년 역량 강화, 교육 협력, 기후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행해 온 자국의 기여와 향후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인도네시아는 지난해만 174명의 짐바브웨 학생에게 장학금을 제공했으며, 앞으로도 유학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마스빙고(Masvingo)와 구웨루(Gweru) 지역에서 인공수정 축산 프로젝트를 지원 중이라고 밝히며, 14건의 양해각서를 추진해 농업과 교육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
|
|
아리프 히다얏(Arief Hidayat) 주짐바브웨 인도네시아 대사 |
|
|
튀르키예는 지난 10년간 약 200명의 장학생을 지원했으며, 참깨 재배 프로젝트와 농업 기계 보급, 65개 지하수 개발 사업을 통해 현지 농업 역량을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하라레 공과대학교에 법과학 및 미생물학 연구실을 설립한 점은 대표적 협력 성과로 꼽힌다. |
|
|
베르나 카스낙리 베르스테덴(Berna Kasnakli Versteden) 주짐바브웨 튀르키예 대사 |
|
|
호주는 여성 낙농가를 위한 태양광 충전소 지원, 여성 밀렵 방지 순찰대인 아카싱가(Akashinga) 후원, 청년 코딩 허브 설립, 태양광 랜턴 제작 교육 등 현장 중심의 프로젝트를 강조했다. 또한 7,640만 달러 규모의 ‘기후 대응 농업 파트너십’을 추진하며 식량 안보와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
|
|
미놀리 페레라(Minoli Perera) 주짐바브웨 호주 대사 |
|
|
한국은 ICT 연구실 설립, 매년 약 15명의 장학금 제공, 문화·체육 교류 확대, 유니세프(United Nations Children’s Fund)와 함께한 500만 달러 규모의 기후 행동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특히 한국이 산업화·근대화 과정에서 젊은 인구 구조를 성장 동력으로 활용했던 것처럼, 젊은 인구 비중이 높은 짐바브웨에서 청년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인구 보너스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기회라며, 교육과 디지털 혁신을 통한 협력을 강조했다. |
|
|
학생 발표도 이어졌다. 한 연사는 교육 5.0 취지에 따라 ‘교육·연구·봉사·혁신·산업화’를 촉진하는 것이 짐바브웨 발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고, 또 다른 연사는 “우리 미래는 고립 속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며 외교와 교육의 연결을 역설했다. 세미나 결론에서 참가자들은 장학금 정보의 신속한 공유, 교육 5.0 혁신 허브 지원, 디지털 교육·여성 역량 강화 협력, MIKTA 세미나의 정례화 등을 권고했다. |
|
|
이번 행사는 ‘글로벌 파트너십 없이는 비전 2030을 달성할 수 없다’는 공감대를 이끌어내며, 청년과 기술, 국제 협력이 짐바브웨의 미래를 여는 핵심 동력이라는 점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행사 종료 후 참가자들은 MIKTA 국가 부스를 방문해 각국 문화를 체험하며 우호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
|
|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