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KAF 자료실
  •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르완다] 르완다의 에너지 정책 로드맵, 2030년까지 전력 100% 보급·재생에너지 확대 목표

관리자 / 2025-09-23 / 27

르완다는 현재 국가 에너지 개발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다. 1990년대 이후 눈에 띄는 회복과 발전을 이룬 르완다는 약 1,300만 명 국민을 위한 경제 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을 위해 에너지 부문 혁신 로드맵을 구상하고 있다.

 

르완다의 에너지 구조는 현재 장작, 숯, 농업 폐기물 같은 전통적인 생물 자원, 즉 바이오매스(biomass)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새로운 대체 에너지원의 부상을 동시에 보여준다.

 

약 94%의 인구가 요리와 난방을 위해 목재를 사용하고 있어, 매년 400만㎥ 이상의 바이오매스가 부족하고 산림 훼손이 심각하다. 전기 보급률은 2024년 기준 55.9%로 2000년대 초반 2%에서 크게 향상됐지만, 여전히 수백만 명이 전력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총 발전 설비 용량은 224.5MW이며, 이 중 재생에너지가 53%를 차지하고, 재생에너지 중 수력이 2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비재생에너지로는 키부호(Lake Kivu)에서 채취되는 메탄가스와 디젤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디젤은 주로 콩고민주공화국과 우간다에서 수입하고 있어 에너지 안보가 취약하며, 잦은 정전과 비용 부담, 환경 오염 우려가 높다.

 

이에 올해 ‘르완다 에너지 정책 2025’를 발표했다. 이는 르완다 역사상 가장 야심 찬 에너지 전략으로, 2030년까지 전 국민에게 100% 전기 보급을 목표로 한다. 또한 모든 가구의 조리 방식을 현대식으로 전환하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및 보급 확대도 추진한다.

루시지 III 수력발전소 프로젝트는 르완다, 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의 전력 생산을 위한 역내 이니셔티브다

이 정책의 핵심은 재생에너지 확대로, 정부는 현재의 49.6%에서 2035년 65%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릴 계획이다. 가장 발전된 재생에너지원인 수력은 약 1,200MW의 잠재량을 보유하고 있는데, 정부는 루시지(Rusizi) III(68MW)과 루시지 IV(95MW) 같은 발전소를 포함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약 6억 9천만 달러를 투입한다. 태양광도 현재 12MW 수준에서 2035년까지 100MW로 확대될 예정이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발전 정책을 위한 태양광 설치

르완다에서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 중 하나인 키부호의 메탄가스는 400억㎥ 규모로 추정되는데, 발전뿐 아니라 조리연료·비료 생산 등으로 활용이 확대된다. 지열 탐사도 진행 중이며, 풍력도 일부 지역에서 가능성이 확인됐다.

 

원자력은 르완다 에너지 전략의 핵심 중 하나로, 장기적인 전력 수요 충족과 에너지 안보를 보장하는 수단으로 주목된다. 정부는 약 365만 달러 규모의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110MW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 경우 르완다는 동아프리카 최초의 원자력 선도국 중 하나로 부상할 것이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재생에너지(RE4SG)’ 제3차 회의 개막식 후

파트리시 우와세(Patricie Uwase) 상임차관(앞줄 오른쪽 두 번째)

여기에 이르기까지 르완다는 막대한 초기 투자, 기술 역량 부족, 제도적 조정 미흡, 환경 영향 관리 등 여러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풍부한 자원, 동아프리카공동체(East African Community, EAC) 통합을 통한 시장 확대, 정치적 안정성과 투명한 규제 체계는 해외 투자 유치와 에너지 자립에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르완다의 실행 로드맵은 2025년까지 수력·태양광 확충 및 전력망 강화, 2025~2030년 전 국민 전기 보급과 태양광 대규모 확대 및 원자력 타당성 조사 완료, 2030~2035년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시스템 효율성 강화로 이어진다. 이를 통해 르완다는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하며, 아프리카의 청정에너지를 선도하는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