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KAF 자료실
  •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카메룬] 카메룬 영화와 영화 산업… 아프리카영화제를 통해 세계적 도약을 꿈꾸며

관리자 / 2025-08-03 / 31

콜리우드(Collywood)라고도 불리는 카메룬의 영화 산업은 카메룬의 풍부한 언어적, 문화적, 역사적 다양성을 바탕으로 1960년대 독립 이후 꾸준히 발전해왔다. 다만 이런 발전은 국가의 제도적 지원보다는 대부분 개별 예술가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독립 직후, 카메룬 정부는 현지 이야기를 알리는 영화 제작에 관심을 보이며 장 피에르 디콩게-피파(Jean-Pierre Dikongue-Pipa)와 같은 감독을 지원하기도 했다. 피파 감독의 1975년작 ‘무나 모토(Muna Moto, 아이의 주인)’는 전통적인 지참금 관습과 젠더 불평등을 비판적으로 다루며, 당시 카메룬 영화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작품이다.

 

현대 카메룬 영화계는 지속적으로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작품들을 통해 국제적 인지도를 얻고 있다. 빅터 비유(Victor Viyouh) 감독은 ‘니나의 지참금(Ninah’s Dowry, 2012)’에서 학대적 결혼으로부터 도망친 여성의 주체성을 표현했고, 바섹 바 코비오(Bassek Ba Kobhio) 감독은 ‘상고 말로(Sango Malo, 교사 말로)’에서 1990년대 교육 개혁과 농촌 사회의 저항을 묘사했으며, 2003년 ‘숲의 침묵(The Silence of the Forest)’에서는 디디에 우에낭가레(Didier Ouenangare) 감독과 공동으로 원주민의 정체성과 문화적 소외를 담아내며 카메룬 사회의 복잡한 면모를 드러냈다.

 

하지만 이런 발전에도 불구하고, 카메룬 영화 산업은 여전히 많은 난제에 직면해 있다. 영화 제작을 위한 정부의 공식적인 지원이나 명확한 정책이 부족해 영화 제작자들은 재정 확보와 제작 시설 부족, 배급 채널의 부재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카메룬의 풀뿌리 영화 문화는 에크랑 누아르 영화제(Ecrans Noirs Festival)나 카메룬 국제 영화제(Cameroo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CAMIFF)와 같은 행사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 이들 영화제는 현지에서 새로운 인재를 발굴하고, 대중의 관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룬 영화 관람의 황금기는 1970~1980년대 초로, 전국에서 30여 개의 극장이 운영됐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제대로 운영되는 곳이 다섯 곳도 채 되지 않는다. 도시화와 관람률 저하로 인해 많은 극장들이 폐쇄되거나 다른 용도로 전환된 것이다. 이러한 쇠퇴의 요인은 단순히 경제적 제약 때문만은 아니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많은 카메룬 시민들이 저렴하고 쉽게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런 여건 속에서 많은 이들이 영화 제작을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진로 분야로 인식하고 있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SNS를 통한 영상 창작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한·아프리카재단과 주한아프리카외교단(African Group of Ambassadors)의 공동 주최로 서울과 부산, 전주에서 열리는 ‘아프리카영화제(African Film Festival)’는 카메룬 영화산업이 국제 무대에서 주목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특히 ‘니나의 지참금’과 은강 로마누스(Ngang Romanus) 감독의 2024년 오스카 출품작 ‘운명(Kismet)’은 국제사회와 한국 관객에게 소개할 만한 뛰어난 작품이다.

 

이집트, 르완다, 케냐, 탄자니아 등의 작품과 함께 문화적 내러티브와 사회적 메시지, 예술적 재능이 풍부한 카메룬 영화를 상영함으로써, 영화제는 아프리카 영화의 다양성을 한국 사회에 소개하고, 한-카메룬 및 한-아프리카 대륙 간의 문화적 가교 역할을 톡톡히 해내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카메룬과 아프리카의 신진 영화인들은 아프리카만의 독특한 스토리텔링을 국제사회에 전하는 세계적 도약을 꿈꿀 수 있을 것이다.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