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KAF 자료실
  •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소말리아] 소말리아 남부, 반복되는 홍수 피해에 재난 회복력 절실

관리자 / 2025-07-30 / 36

2025년 7월, 소말리아 남부를 강타한 집중 호우로 인해 수만 명의 주민이 삶의 터전을 잃고 대피했다. 계절성 폭우인 ‘구(Gu) 우기’로 인해 셰벨(Shabelle)강과 주바(Jubba)강이 범람하면서, 로어 셰벨(Lower Shabelle)와 미들 주바(Middle Jubba) 지역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UN OCHA)에 따르면, 4월 이후 피해를 입은 주민은 총 84,000명을 넘었으며, 이 중 다수가 국내 실향민(Internally Displaced Persons, IDPs)이 되었다.

홍수로 침수된 셰벨강 유역

이번 홍수로 인해 마을 전체가 물에 잠기고, 도로는 유실되었으며 농경지는 폐허로 변했다. 집이 침수된 주민들은 배나 도보로 대피했고, 아이들과 가축을 안고 물살을 헤쳐 나온 가족들이 속출했다. 아프고예(Afgooye)의 지역 지도자들은 “이웃 전체가 물에 잠겼다.”고 증언했으며, 주민들의 생계 기반이었던 농업도 불가능해져 대부분은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활동에 의존하고 있다고 전했다.

홍수로 침수된 셰벨강 유역의 벨레드웨이네 도시

이번 재난은 단지 이상 기후 때문만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수십 년간 유지되지 않은 제방과 관개 수로, 미흡한 홍수 대비 역량이 피해를 증폭시켰다고 지적한다. 특히, 저지대에 형성된 정착촌이 이번 홍수 피해를 더욱 키운 요인으로 분석된다. 정부와 국제구호단체들도 매년 홍수가 반복되지만 조기경보 시스템, 배수 인프라, 지역 대피 계획 등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이재민들은 거처를 찾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 위원회나 구호단체가 고지대에 임시 텐트를 설치했지만, 외곽 지역 주민들은 쉼터조차 없어 야외에서 잠을 자야 했다. 코리올레이(Qoryoley) 지역의 한 임시 캠프에서는 오염된 식수와 열악한 위생 환경으로 인해 어린이들 사이에 감염병이 확산됐다.

홍수로 IDP센터까지 피해를 입었다

이에 대응해 OCHA, 국제이주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유니세프(UNICEF) 등 주요 국제기구와 일부 국제 NGO, 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rogramme, WFP)이 긴급 구호에 나섰다. 식량, 모기장, 정수제, 이동식 화장실 등 필수 구호품이 제공됐으며, 정부 재난 대응 기관은 보트와 트럭을 동원해 대피를 도왔다. 그러나 지속적인 폭우와 분쟁지역 인근은 구호물자 전달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당국은 일부 지역을 공식 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국가 차원의 홍수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연방정부에 촉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로 준설, 제방 보강 같은 인프라 복구는 물론, 라디오와 SMS를 활용한 조기경보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홍수로 침수된 도시

문제는 이러한 홍수 피해가 일회성 재난이 아니라 매년 반복되는 순환적 현상이라는 점이다. 일부 주민들은 4년 연속 같은 마을에서 똑같이 물에 쓸려 나갔다. 한 농민은 “흙은 떠내려가고, 작물은 썩고, 이제는 가족이 안전하게 잘 곳조차 없다. 매년 집으로 돌아오지만, 매년 다시 침수된다.”고 고통스러워했다. 이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기후위기에 대응하지 못한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그러므로 지금처럼 사후 대응 위주의 구호 방식으로는 피해를 막을 수 없다. 구호에서 재난 회복력(resilience)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강 주변 고지대에 안전한 거주지 확보, ▲홍수 적응형 주택 건설, ▲영구 배수 시스템 설치, ▲기후 스마트 농업 도입 등 근본적 대응이 필요하다. 연방정부와 주정부, 지역 당국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장기적 인프라 투자와 재난 대비를 병행할 수 있는 전국적인 체계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다.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