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KAF 자료실
  • 아프리카 위클리
아프리카 위클리

아프리카위클리(2025-2호): 2025 아프리카 대선 일정 및 전망

관리자 / 2025-01-10 오후 3:00:00 / 498
선거의 해’로 불린 지난 2024년에는 아프리카 20여 개국과 미국, 영국 등 여러 나라에서 선거를 치르며
No.2(2025.1.10.)
한·아프리카재단 조사연구부가 매주 전하는 최신 아프리카 동향과 이슈

2025 아프리카 대선 일정 및 전망

‘선거의 해’로 불린 지난 2024년에는 아프리카 20여 개국과 미국, 영국 등 여러 나라에서 선거를 치르며 정치 지형의 변화가 일어났다. 세네갈, 가나, 보츠와나 등에서 집권당이 패하며 정권이 교체되었고 남아공은 집권당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여 사상 최초의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한편, 모잠비크에서는 10월 초 대선이 치러졌으나 선거 결과에 불복하는 시위가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다. 올해는 아프리카 8개 국가에서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예정으로 이에 따른 정치?사회적 변화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위클리에서는 올해 아프리카 국가의 대선 일정과 전망을 살펴본다.

ⓒU.S. Embassy

+ 2025 아프리카 대선 일정
  • 20252: 토고 대선
  • 20258: 가봉 대선
  • 2025916: 말라위 대선
  • 2025927: 세이셸 대선
  • 2025105: 카메룬 대선
  • 202510: 탄자니아 대선 및 총선
  • 202510: 코트디부아르 대선 및 총선
  • 202512: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선
  • 2025(미정): 말리 과도정부 대선
+ 토고

-정치 체제: 의원내각제(4년 임기, 2선 제한)

-선거: 2025년 2월 중 대통령 선거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토고는 2025년 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는데 이는 2024년 헌법 개정 이후 열리는 첫 대선이다. 토고는 당초 대통령중심제를 도입하고 있었으나 지난 해 5월 의원내각제를 도입하고 대통령 임기를 5년에서 4년으로 단축하며 2선 제한을 두는 것으로 헌법을 개정했다. 이에 따라 의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게 되었는데, 지금은 집권 여당인 공화국을위한연합(Union for the Republic)이 의회의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어 포르 냐싱베(Faure Gnassingbe)가 대통령직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야당은 냐싱베 가문의 통치의 연장을 위한 “헌법적 쿠데타”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냐싱베 일가는 무려 57년간 토고를 집권 해왔다. 포르 냐싱베 현 대통령은 아버지인 에야데마 냐싱베(Eyadema Gnassingbe) 전 대통령(1967~2005년)이 서거하면서 당시 토고군 사령관에 의해 신임 대통령으로 지명되어 국내외의 반발을 샀다. 냐싱베는 이후 2달 뒤 열린 대선에서 대통령으로 다시 선출되었으며, 지난 2020년 4선에 성공했다.

+ 가봉

-정치 체제: 과도정부(7년 임기, 1회 연임 가능)

-선거: 2025년 8월 중 대통령 선거

 

가봉은 2023년 8월 군부 쿠데타가 일어나 봉고 정권을 축출하고 과도 정부를 세웠다. 약 40년간 장기 집권한 오마르 봉고(Omar Bongo) 전 대통령부터 그의 아들 알리 봉고(Ali Bongo) 대통령까지 봉고 일가는 1967년부터 2023년까지 약 60년 가까이 집권하고 있었다. 그러다 2023년 8월 대선으로 아들 봉고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자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야권에서는 가봉의 쿠데타가 기존 독재 정권의 교체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봉고 가문 내부 다툼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과도정부의 대통령으로 취임한 올리귀 은구마(Oligui Nguema) 장군이 알리 봉고 전 대통령의 사촌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내놓은 분석이다.

 

더보기>>아프리카 위클리(2023-36호): 가봉 쿠데타 발발과 구 프랑스 식민지의 '쿠데타 전염’

  

과도정부는 오는 2025년 8월 대선을 계획하고 있으며 올리귀 은구마가 대선에 출마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16일 국민투표로 개정된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의 임기는 7년으로 1회 연임이 가능하고, 가족 간 대통령직 승계는 불가하다. 또한 대통령 후보자의 부모 중 한 사람 및 본인이 가봉인이고, 배우자 역시 가봉인이어야 한다. 알리 봉고 전 대통령은 아버지가 대통령이었으며 배우자가 프랑스-가봉 이중 국적 소지자이다. 이 때문에 이번 개헌은 알리 봉고 전 대통령 일가의 출마를 견제한 것으로 해석된다.

+ 말라위

-정치 체제: 대통령 중심제(5년 임기, 1회 연임 가능)

-선거: 2025년 9월 16일 대통령 선거

 

말라위 대선은 9월 열릴 예정이며, 6년간 집권하고 부정선거 논란으로 정권을 내어준 피터 무타리카(Peter Mutharika) 전 대통령과 라자루스 차퀘라(Lazarus Chakwera) 현 대통령이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말라위는 2019년 대선을 치렀으나 다음해 말라위 대법원은 이를 부정선거로 판명하고 선거를 다시 진행할 것을 명령했다. 2019년 대선에서 연임에 성공한 피터 무타리카( 전 대통령은 이 판결이 “사법 쿠데타”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시 치러진 선거에서는 당시 야당 후보였던 라자루스 차퀘라가 승리하면서 결과가 반전되었다.

 

무타리카 전 대통령은 올해 대선에서 차퀘라 현 대통령과 다시 한 번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무타리카 전 대통령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무능한 정부를 없애기 위함”이라고 출마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무타리카 전 대통령은 84세의 고령으로, 정치 평론가들은 더 젊고 혁신적인 후보가 필요하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 세이셸

-정치체제: 대통령중심제(5년 임기)

-선거: 2025년 9월 27일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세이셸은 올해 9월 27일에 대통령과 국회의원 선거를 실시한다. 현재 집권 중인 와벨 람칼라완(Wavel Ramkalawan) 대통령은 2020년에 당선되었는데, 1977년 이후 최초로 야당에서 배출한 대통령이기도 하다. 현재 차기 대선 후보로 예상되는 인물은 주요 야당 세이셸연합당(United Seychelles Party) 대표인 패트릭 헤르미니(Patrick Herminie)이다. 그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회 대변인을 맡았다. 헤르미니 당대표는 지난 2023년 10월에 주술 행위에 대한 혐의로 기소되었다가 지난해 2월에 풀려났다. 그는 자신에 대한 기소가 현 정권의 권력 남용이라고 지적하며 세이셸 사상 최초로 정당 대표가 주술 행위로 체포된 매우 수치스러운 사건이라고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 카메룬

-정치 체제: 대통령 중심제(7년 임기)

-선거: 2025년 10월 중 대통령 선거

 

카메룬은 10월 대통령 선거와 12월 총선을 계획하고 있다. 폴 비야(Paul Biya) 대통령은 1982년부터 40년이 넘게 장기 집권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최장기 집권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올해 92세의 고령인 만큼 건강 문제에 대한 의혹이 끊이지 않는다. 작년 9월 초 이후 6주 넘게 공식석상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건강 악화에 대한 추측이 난무했다. 이에 카메룬 정부는 대통령의 건강에 대한 논의를 국가 안보 문제로 분류하고 언론에서 언급을 금지시켰다. 그러다 10월 마침내 비야 대통령이 스위스에서 항공편을 타고 수도 야운데 공항에 도착하는 영상이 공개되며 의혹을 일축했다.

 

한편, 비야 대통령은 대국민 신년사를 통해 국가에 대한 헌신을 약속하며 다음 임기 출마를 시사했다. 집권여당인 카메룬인민민주운동당(Camero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은 의회 180석 중 156석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7월 국회의원 임기를 1년 늘려 2026년까지 연장하는 법안이 통과되면서 국회의원 선거 역시 1년 미루어진 2026년 2월에 열린다. 이에 야당은 여당이 국회 임기를 연장하고 지역선거를 미뤄서 정권 교체를 막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만약 올해 선거에서 비야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다면, 그는 98세가 되는 2032년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하게 된다.

+ 탄자니아

-정치 체제: 대통령 중심제(5년 임기, 1회 연임 가능)

-선거: 2025년 10월 중 대통령 선거

 

탄자니아는 최초의 여성 대통령인 사미아 술루후 하산(Samia Suluhu Hassan)*이 재임 중이다. 그녀는 ‘4Rs’ 이니셔티브(화해(Reconciliation), 회복력(Resilience), 개혁(Reform), 재건(Rebuild)) 아래 전 정부에서 행해진 언론 제한과 야당에 대한 억압적인 통치와의 차별화 그리고 개혁을 약속했다.

 

*20213, 당시 대통령이었던 존 마구풀리(John Magufuli)가 심장질환으로 사망하자, 헌법에 따라 부통령이었던 사미아 술루후 하산이 대통력직을 승계받아 탄자니아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하산 대통령은 마구풀리 대통령의 잔여임기인 202510월꺼지 대통령직을 수행한 후, 임기 종료시 1회에 한해 재선에 도전 가능하다.

 

지난 2024년 11월 말, 탄자니아 지역선거에서 여당인 탄자니아혁명당(Chama Cha Mapinduzi: CCM)이 98% 이상의 의석을 확보했다. 그러나 야당인 차데마(Chadema) 측은 당원들이 살해당하는 등 선거가 공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야당 인사들에 대한 체포, 납치, 살해 등 정치적 탄압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나오며 정국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2025년 10월 예정된 차기 대선에서 사미아 대통령이 재선에 도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상대 후보는 차데마의 부대표인 툰두 리수(Tundu Lissu)였지만 2024년 9월에 체포된 상태로, 사미아와 맞붙을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 코트디부아르

-정치 체제: 대통령 직선제(임기 5년)

-선거: 2025년 10월 중 대통령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

 

82세의 알라산 우아타라(Alassane Ouattara) 코트디부아르 대통령은 2010년부터 15년 넘게 집권하고 있으며 2025년 4선에 도전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우아타라 대통령은 2020년에 야당의 보이콧에도 94.27%의 득표로 재선되었다. 그러나 반대파들은 헌법상 대통령 임기가 2기로 제한되어 있는데 3선에 출마한 것은 불법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지지자들은 2016년 헌법 개정으로 인해 우아타라 대통령의 첫 임기는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지난 10월 코트디부아르 야당과 시민단체는 2025년 대선에 앞서 선거 제도를 개혁하고 정부가 진정한 대화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며 정부를 압박했다. 지난 11월, 파스칼 아피 응게산(Pascal Affi N'Guessan) 전 총리는 이부아르인민전선(Popular Ivorian Front: FPI)의 대선 후보로 지명되었다. 응게산 전 총리는 2015년과 2020년 대선에도 출마했지만 와타라 현 통령에 패배했으며, 선거결과에 불복하고 과도위원회를 구성하여 ‘테러’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다.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정치 체제: 대통령 중심제(7년 임기, 연임 가능)

-선거: 2025년 12월 중 대통령 선거

 

이전에는 대통령 임기가 2회로 제한되어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Faustin-Archange Touadera) 현 대통령의 2025년 대선 재출마가 불가했다. 그러나 2023년 국민투표로 헌법이 개정되면서 기존 5년 임기가 7년으로 연장되고 연임 제한이 없어져 투아데라 대통령의 3선 도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투아데라 대통령에 맞설 후보는 야당인 중앙아프리카혁신연합(Union pour le Renouveau Centrafricain: URCA)의 아니세 조지 돌로겔레(Anicet Georges Dologuele)*이다. 돌로겔레 후보는 작년 10월에 예정되었던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관리위원회에 여당 친화 인사들을 배정되었다며 URCA당의 보이콧을 선언했다. 40년 만에 열리는 지방선거는, 재정문제로 또 다시 연기되어 올해 4월 6일로 예정되어 있다.

 

*아니세 조지 돌로겔레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총리(1999~2001)와 중앙아프리카개발은행(Banque de Developpement des Etats de l'Afrique Centrale: BDEAC)의 총재(2001~2010)를 지냈다.


또한, 돌로겔레 후보는 이중국적자의 선거 출마를 제한하는 현행 규정에 반대하고 있다. 돌로겔레 후보도 이중국적자이며, 불안한 국내 정세로 인해 다른 나라에 이주한 유력 후보들의 출마를 막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은 2013년 반군이 당시 대통령이었던 프랑수아 보지제(Francois Bozize)를 축출한 이후 혼란에 빠졌으며, 약 100만 명이 카메룬, 수단, 그리고 인근 국가로 피난을 가야 했다.

+ 말리, 부르키나파소

-정치 체제: 과도정부

-선거: 미정

 

말리는 2021년 발발한 쿠데타 이후 아시미 고이타(Assimi Goita) 군부가 과도정부를 이끌고 있다. 군부는 2022년 2월 예정이던 대선을 연기하고 같은 해 7월 3일 가나 아크라(Accra)에서 열린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ECOWAS) 정상회의에서 말리에 대한 제재 해제를 조건으로 2024년 2월까지 선거를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2023년 9월, 인구조사를 담당하는 프랑스 기업 이데미아(Idemia)와의 대금 지급과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하자 ‘기술적인 문제’를 들며 재차 대선일정을 연기한 바 있다. 2024년 5월에는 권력 이양 시기를 2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고 차기 대선에 고이타가 출마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지난 10월에는 과도 정부가 2025년 예산에 대선 비용으로 1.35억 달러를 편성한 사실이 알려지며 올해 대선 실시 여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르키나파소 역시 2022년 4월 쿠데타 발발 이후 이브라힘 트라오레(Ibrahim Traore)가 이끄는 과도정부가 집권하고 있다. 당초 2024년 7월 선거를 약속했으나 군사 정권이 5년 더 연장되고 트라오레가 이 기간 동안 집권할 것이라 발표하며 선거가 기약 없이 연기된 상황이다.

 

작년 한 해 전국적 선거를 통해 평화적 정권 교체를 이룬 국가들도 있는 만큼 올해 아프리카에서 예정된 선거들이 순조롭게 치러질 수 있을지 그 결과가 주목된다. 더욱이 부르키나파소, 말리를 비롯한 사헬 국가에서 과도정부가 약속한 민주적 정권이양과 지역 안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경과를 지켜보아야할 것이다.

 

더보기>>아프리카 위클리(2024-56): 2024년 아프리카 주요국 선거 결산

더보기>>아프리카 위클리(2024-50): 보츠와나와 모잠비크의 대선: 정권교체의 갈림길에 서다

토고 대통령, 대통령 직선제 폐지 담은 개헌안 공포. 2024-05-08. 뉴시스

[이슈트렌드] 말라위 대선 실시, 피터 무타리카 대통령 재선 성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09-12. 

Betymie Bonnelame. Seychelles' government proposes fixed date of Sept. 27 for presidential and parliamentary elections in 2025. 2024-05-17. Seychelles News Agency. 

Cai Nebe, Okeri Ngutjinazo. Tanzania: Opposition cries foul after CCM election victory. 2024-12-02. DW. 

Carien du Plessis. Seychelles President Ramkalawan: Africa must ‘stand on a par’ with the West on climate change. The Africa Report. 2024-11-07. 

Gabon approves new constitution a year after military seized power. 2024-11-18. RFI. 

Gabon's opposition leader claims coup is a 'family affair'. 2024-08-13. Africanews.

Ivory Coast election: Alassane Ouattara wins amid boycott. 2020-11-03. BBC.

Ivory Coast: Former president Laurent Gbagbo agrees to contest 2025 election. 2024-08-13. Africanews. 

Ivory Coast president Ouattara's party pushes him to run again. 2024-10-02. Reuters.

Kanika Saigal, Sheriff Bojang Jnr, Alison Culliford. West Africa in 2025: Security response needed against extremist insurgency. 2025-01-02. The Africa Report.

La Centrafrique reporte ses elections locales et municipales au 6 avril 2025. 2024-08-23. RFI. 

Lancement en Centrafrique de la revision du fichier electoral national en prevision de selections locales de 2025. 2024-11-25. Agence afrique. 

Moki Edwin Kindzeka. Cameroon's opposition says postponing elections is president's ploy to stay leader for life. 2024-07-09. VOA. 

Moki Edwin Kindzeka. Central African Republic opposition threatens to disrupt local elections. 2024-07-26. VOA. 

Moki Edwin Kindzeka. Gabon approaches first anniversary of coup; leader's plans questioned. 2024-08-15. VOA. 

Peter Jegwa, Natasha Booty. Malawi ex-president plots comeback in next election. 2024-08-20. BBC. 

RCA: La revision du fichier electoral est lancee, une etape cle vers des elections inclusives et transparentes. 2024-11-26. UN개발계획

Seychelles drops witchcraft charges against opposition's Patrick Herminie. 2024-02-16. BBC. 

Seychelles: leader of main opposition party charged with witchcraft. 2023-10-03. Africanews. 

Shola Lawal. Where is Cameroon’s Paul Biya ? and why is his health a banned topic? 2024-10-06. Al Jazeera.

Stears. African Election Tracker.

06750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외교타운 4층 한·아프리카재단
 · TEL : 02-722-4700 · FAX : 02-722-4900
 kaf@k-af.or.kr
수신거부 Unsubscribe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