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4일(목) 아프리카 소식 2020년 6월 4일 (목) | 2020-105호 |
|
한·아프리카재단 공지
- [홍보] 2020 랜선 아프리카카페: 아프리카와의 만남? 맛!남 (1차: 2020.6.5.) [바로가기]
- [기한연장] 2020 아프리카 창업아이디어 대회 (접수기간: 2020.3.11.~6.12.) [바로가기]
- “아프리카 55개국의 방대한 정보를 한 눈에” 「한 눈에 보는 아프리카」앱출시 [iOS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
|
코로나19 관련 아프리카 국별 조치 현황
-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코로나19 확산 관련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조치 현황 안내 [바로가기]
|
|
1. 정치·외교 나미비아 게인곱 대통령, 코로나19 격리시설 개소식 당시 언론 취재 제한 조치에 대해 사과문 발표 (All Africa, 6.3.)
남아공 고등법원, 일부 국가봉쇄령 위헌 판결 (Reuters, 6.2.)
2. 경제·통상 3. 사회·문화 - 적도기니, 통계조작 혐의로 코로나19 대응 위해 파견된 세계보건기구(WHO) 적도기니 대표 출국 명령 (Africa News, 6.3.)
세네갈 카자망스 지역, 교사들의 코로나19 집단 감염으로 고교 휴교령 연장 (Al Jazeera, 6.3.)
WHO, DR콩고 에쿠아퇴르 지역에서 에볼라 감염자 2명 추가발생 (Reuters, 6.3.)
|
|
나미비아 게인곱 대통령, 코로나19 격리시설 개소식 당시 언론 취재 제한 조치에 대해 사과문 발표 (All Africa, 6.3.)
6.3일(수), 나미비아 정부는 게인곱(Hage Geingob) 나미비아 대통령이 수도 빈트후크(Windhoek) 소재 빈트후크중앙병원(Windhoek Central Hospital)에서 열린 코로나19 격리시설 개소식에서 기자들의 취재를 금지한 것에 대한 사과 성명서를 발표했다. 더나미비안(The Namibian) 소속 응갓지휴이(Charmaine Ngatjiheue)와 나미비안선(Namibian Sun) 소속 뷰케스(Jemima Beukes) 등 2명의 기자들은 경찰관들로부터 폭행을 당했다며 신고장을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미비아미디어트러스트(NMT)는 성명서를 통해 “NMT는 국가적 관심 사안에 대해 보도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정부의 행위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운을 뗀 뒤 “코로나19 관련 지침을 핑계로 기자들의 정보 접근 권한을 침해하는 것에 반대하며 언론인들에게 위해를 가하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반대한다”며 비판했다. 또한 NMT는 “우리는 빈트후크 중앙병원에서 열린 개소식 취재를 허용하는 공식 초청장을 발부받았으며, 5.28일(목) 정부에서 발표한대로 1개의 언론사 당 1명의 기자만을 파견하라는 지침도 준수했다”고 밝혔다. NMT는 “그러나 행사 당일, 나미비아국영방송(NBC)에게만 취재가 허용된다는 통보를 받았다.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노고에 감사함을 느끼고 있으나 급작스런 지침 변경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져야 하며 언론사들의 취재를 제한하는 것은 국민들의 알 권리와 언론의 독립성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대통령관저 측 보안 요원들은 2명의 기자들을 난폭하게 다루고 ‘당신들이 총에 맞으면 어떨 것 같냐’며 협박했다. 이는 공권력이 무고한 민간인들을 총으로 제압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던 끔찍한 사건이다. 나미비아의 언론 자유는 국가비상사태에도 축소되거나 침해될 수 없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에 나미비아 정부는 사과 성명서를 통해 “6.3일(수), 대통령께서도 참석했던 빈트후크 중앙병원 격리시설 개소식에서 일어난 기자 출입 제한 사건에 대해 인정한다”고 운을 뗀 뒤 “이번 취재 제한 조치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방책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규정을 지키기 위해 시행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해당 사건은 대통령 직속 미디어팀과 보건사회복지부 간의 의사소통에 혼선이 생겨 발생한 일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으며 “RSVP 명단은 국가비상사태에 따라 보건 규정에 입각한 사전 예방조치 중 하나로 보안 요원들의 행위는 악의적인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규정을 준수하게 하려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게인곱 대통령께서는 건전한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의 역할을 인지하고 있으며, 나미비아 공화국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언론의 자유를 지켜나갈 것을 약속했다. 나미비아 대통령 직속 미디어팀은 이번 사건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
|
남아공 고등법원, 일부 국가봉쇄령 위헌 판결 (Reuters, 6.2.)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고등법원은 남아공 정부가 내린 국가봉쇄령 중 일부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으나 14일 간 유예기간을 갖기로 했다. 남아공은 지난 3월 음주금지와 담배 판매금지를 포함한 국가봉쇄령을 도입했으나, 점차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리버티파이터즈네트워크(Liberty Fighters Network)라는 옹호단체는 지난달 이러한 규정들이 남아공 권리장전을 위반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고등법원은 5단계 중 3·4단계의 봉쇄령이 위헌이며 무효선언을 한 바 있다. 판결문에서는 “봉쇄령이 코로나19의 감염률을 늦추거나 감염 확산을 제한하는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다”며 “봉쇄령으로 인한 권리침해는 정당하지 않다”고 선언했다. 남아공 내각은 법원 결정의 효력이 14일간 중단됐기 때문에 현 봉쇄령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며 판결문을 충분히 검토한 후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라마포사(Cyril Ramaphosa) 대통령이 내린 봉쇄령은 초기에 폭넓은 지지를 받았으나 봉쇄령으로 경제가 위축되자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편, 6.1일(월) 남아공 정부는 봉쇄령을 3단계로 낮추고 경제활동 재개를 허가했으나 여전히 많은 공공장소는 폐쇄돼 있고 음식점은 포장만 가능하며 주류 또한 특정 시간에만 판매된다. 이번 판결은 봉쇄령 3·4단계가 개인권리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정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연관기사 |
|
국가봉쇄령 선포한 국가들이 봉쇄령을 해제하며 나이지리아 경제에 ‘파란불’ (Ventures Africa, 5.28.)
지난 몇 주간 나이지리아의 외환보유액이 상승 궤도에 오르면서 유가하락으로 어려움을 겪던 나이지리아 경제에 숨이 트였다. 나이지리아 중앙은행 자료에 따르면 나이지리아는 지난 2019년 6월부터 10개월 간 117억5천만 불의 손실을 입었으나, 지난 4.29일(수) 기준 외환보유액이 334억2천만 불로 꾸준히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5.21일(목) 기준 나이지리아의 외환보유액이 357억7천 불이었으며, 이는 9일 전 5.21일(화)의 347억 8천만 불에서 거의 10억 불 상승한 수치다. 지난 6월 451억7천만 불의 외환보유액을 달성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 것은 5월 초 국제통화기금(IMF)이 나이지리아 정부에 34억 불의 긴급자금지원을 승인한 덕분이다. 긴급자원지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유가하락과 해외거주 나이지리아인들로부터 송금액이 줄어 어려움을 겪는 나이지리아 경제를 완화했다. 이러한 긴급자금지원과 중앙은행 주도의 경제유동성 개선으로 최근 몇 주 간 나이지리아 경제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봉쇄령을 선언하며 세계 석유 수요가 급감하고 나이지리아 물가 또한 급락했다. 그러나 세계 각국 정부가 이동제한 조치를 해제하고 국가봉쇄령 또한 점차 해제하며 세계 경제와 물가 또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환보유액 증가, 외환시장 유동성 개선, 유가 반등, 세계 석유시장 재균형이 아프리카 최대 경제국의 재정압박을 감소하고 경제수익을 상승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 연관기사 |
|
中, 아프리카 채무국 상대로 완전 채무 탕감 고려하지 않아 (VOA, 6.2.)
중국 정부가 코로나19의 여파로 긴축 정책에 돌입하자 아프리카 국가들이 중국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기반시설 구축 사업의 미래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일부는 중국 정부에 채무 면제를 요청하고 있다. 중국은 아프리카의 최대 교역 파트너로 對아프리카 교역액이 연간 2,000억 불에 달하며 아프리카 국가들을 대상으로 도로·항만·철도 등 사회기반시설 구축에 수십억 불 규모의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왔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로 경제적으로 직격탄을 맞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對中(대중) 채무 상환 능력이 감소함과 동시에 중국의 해외 투자 의지가 약화되고 있어 중국과 아프리카의 관계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美 워싱턴(Washington) 소재 정책연구센터인 스팀슨센터(Stimson Center)의 선(Yun Sun) 중국프로그램 국장은 “코로나19로 중국 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다”고 운을 뗀 뒤 “이전과 비교했을 때 중국의 아프리카 대륙 내 기반시설 구축 및 자금 지원 역량이 현저히 감소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의 일대일로(Belt and Road Initiative) 프로젝트를 비롯한 수많은 기반시설 구축 프로젝트의 유지 가능성에 대해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선 국장은 “채무 면제 요구는 비단 아프리카 국가들만의 문제가 아닌 전세계적인 문제다, 그러나 중국이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제공한 차관의 규모를 고려했을 때 채무 탕감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가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다. 선 국장은 “중국은 향후 채무 상환 유예 및 면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나 중국 정부는 국가간 일대일 협상을 선호한다”고 밝혔으며 “중국 정부는 채무 재협상 혹은 재조정, 심지어 채무 상환 유예기간 연장 등을 고려할 수는 있겠지만 완전한 채무 면제는 고려하고 있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이징(Beijing) 소재 개발컨설팅 회사인 ‘개발재창조(Development Reimagined)’를 운영하고 있는 라이더(Hannah Ryder)는 “다수의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채무를 지는 대가로 국가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을 빈곤으로부터 구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주장했다. 라이더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자국 내 기반시설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연간 총 680억 달러가 필요하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역량이 없기에 중국을 비롯한 국제은행들의 도움을 빌릴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또한 “부채 문제는 개인에게도 국가에게도 유쾌한 일은 아니지만 아프리카 국가들은 기반시설이 절실히 필요하기에 채무를 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근본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아프리카 국가들은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여전히 중국 정부가 아프리카 국가들이 채무 상환 불능에 처할 경우 어떠한 반응을 보일지 우려하고 있다. 지부티와 케냐 같은 경우에는 해외 채권자들에게 각각 국내총생산(GDP)의 약 80%, 61%에 달하는 금액을 채무를 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로부터 자국 내 주요 항만 시설 건설을 위한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부채 증가에 따라 기반시설 구축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중국 채권자들이 아프리카 내 기반시설을 통제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라이더는 “부채 상환 문제는 더 세부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미래 국가 비전을 수립하고 중국 정부와 함께 계획을 수립하고 대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
적도기니, 통계조작 혐의로 코로나19 대응 위해 파견된 세계보건기구(WHO) 적도기니 대표 출국 명령 (Africa News, 6.3.)
적도기니가 코로나19 통계 조작 혐의를 제기하며 현지에 파견된 은쿠룬지자(Triphonie Nkurunziza) 세계보건기구(WHO) 적도기니 대표를 추방했다. 이로써 적도기니는 부룬디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코로나19 대응을 돕기 위해 파견된 세계보건기구(WHO) 대표단을 추방한 나라에 이름을 올렸다. 적도기니 외교부 문서와 UN 보건기구 소식통을 인용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은쿠룬지자 대표는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 통계를 조작한 혐의로 적도 기니 정부로부터 출국 명령 조치를 받았으나, 현재로써는 출국 가능한 항공편이 없어 수도 말라보(Malabo)에 체류 중인 상황이다. 지난주 아수에(Pascual Obama Asue) 적도기니 총리는 상원에 출석해 “적도기니 정부는 WHO와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WHO 말라보 대표부와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존스홉킨스대학(John Hopkins University)의 통계에 의하면 현재까지 적도기니 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총 1,306명, 사망자 수는 12명이며 회복 환자 수는 200명이다. 앞서 지난 5.12일(화), 부룬디에서도 대선을 앞두고 물룸보(Walter Kazadi Mulumb) 부룬디 주재 WHO 대표 등 총 4명을 국외 추방한 바 있다.
※ 연관기사 |
|
세네갈 카자망스 지역, 교사들의 코로나19 집단 감염으로 고교 휴교령 연장 (Al Jazeera, 6.3.)
세네갈 정부는 카자망스(Casamance) 지역에서 교사들이 집단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되자 고등학교 개학 결정을 철회했다. 약 두 달 반의 휴교령 끝에 전국 350만 명의 고등학생 중 55만 명이 6.2일(화) 개학을 할 예정이었다. 세네갈 교육부는 카자망스 지역의 수도인 지긴쇼르(Ziguinchor) 교사 10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되었다며 휴교령 연장을 선포했다. 더불어 교육부는 살(Macky Sall) 대통령이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휴교령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한편, 개강을 앞두고 수많은 교사, 학부모와 학생들은 학교들이 개인보호장비를 갖추지 않고 있으며, 교내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해 코로나19의 집단 감염위험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세네갈은 현재까지 3,700명의 코로나19 확진자와 43명의 사망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비교적 부실한 보건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세네갈이 성공적으로 코로나19를 억제할 수 있을지에 대해 많은 우려를 사고 있다. 한편, 세네갈은 지난 3.2일(월) 첫 코로나19 확진자를 기록하며 신속하게 대응책을 내놓은 바 있다. 세네갈 정부는 국가봉쇄령을 선포하지 않았지만 국가비상사태를 6월 말까지 연장하였다.
※ 연관기사 |
|
WHO, DR콩고 에쿠아퇴르 지역에서 에볼라 감염자 2명 추가발생 (Reuters, 6.3.)
6.3일(수) 세계보건기구(WHO)가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 서부지역인 에쿠아퇴르(Equateur) 지역에서 에볼라 감염자가 2명 추가로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 지역은 최근 6건의 에볼라 감염자가 발생한 DR콩고 북서부 지역의 음반다카(Mbandaka)에서 150km 떨어진 지역이다. 한편, 6.1일(월) DR콩고 당국은 음반다카 지역에서 4명의 에볼라 사망자를 발표한 바 있다. DR콩고는 이번 달, 지난 2018년부터 2,200명의 목숨을 앗아간 에볼라 바이러스로부터의 종식 선언을 앞두고 있었다. 보건관계자는 에쿠아퇴르와 음반다카에서 발병한 사례가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지 않더라도 같은 바이러스의 변종으로 일어났기 때문에 동일한 백신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게브레예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은 기자들에게 “가장 최근에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는 음반다카에서 150km 떨어진 비코로(Bikoro)에서 진행된 최초 확진자의 장례식을 참석했다”며 “이는 음반다카와 에쿠아퇴르 지역 모두 에볼라에 감염된 것을 뜻한다”고 전했다. 음반다카에서는 지난 2018년 33명의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가 발생한 바 있다. 그러나 백신사용과 세면대, 방문교육 캠페인을 통해 더 큰 확산을 막을 수 있었다. 한편, 6.3일(수)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은 50명의 의료진이 3,600개의 에볼라 백신을 가지고 음반다카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에볼라는 극심한 출혈열, 구토와 설사 증세를 일으키며 감염자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해당 바이러스는 1976년 에볼라강에서 발견돼 ‘에볼라’라는 이름이 주어졌으며, DR콩고는 수십 년 간의 내전으로 에볼라뿐만 아니라 홍역과 3,000명의 감염자와 75명의 사망자를 낳은 코로나19로도 몸살을 앓고 있다.
※ 연관기사 |
|
kaf@mofa.or.kr 04519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21길 39사랑의열매회관 3층 한·아프리카재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