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아프리카윈도우
  • 아프리카 대륙 개관
아프리카 대륙 개관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나보츠와나, 나파소부르키나파소, 남수단, 니아모리타니아, 니적도기니, 니제르, 레소토, 레아에리트레아, 르데카보베, 르데, 르완다, 리비아, 리아나이지리아, 리아라이베리아, 리온시에라리온, 리카공화국남아프리카공화국, 말라위, 말리, 모로코, 베냉, 부룬디, 부아르코트디부아르, 사우기니비사우, 서사하라서사하라, 세네갈, 세이셸, 수단, 스모리셔스, 스카르마다가스카르, 아나미비아, 아소말리아, 아탄자니아, 알제리, 앙골라, 우간다, 웨짐바브웨, 이집트, 잠비아, 주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지부티, 차드, 카메룬, 케냐, 코모로, 크모잠비크, 토고, 튀니지, 티니에스와티니, 프린시페상투메프린시페, 피아에티오피아, 프리카공화국중앙아프리카공화국, 화국콩고공화국
  • 인구약 13억 6천만 명(‘21년 추정치, UN)
  • 면적30,067,234km² (지구 육지면적의 약 20%)
  • GDP약 8조 2천억 달러 (PPP) / 약 2조 9천억 달러 (명목)(‘22년 추정치, IMF)
  • 우리 상주 공관 수24개국 25개 공관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 마크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
(ECOWAS,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최신동향
  • 무역진흥기구협회(TPO Network, Trade Promotion Organization Network) 출범
    • 2021년 7월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는 회원국간 역내 무역 증진 및 통상협력 강화, 경제통합을 위해 TPONetwork를 출범
    • Olusegun Awolowo 나이지리아 수출촉진위원장이 초대 협회장으로 취임
  • 서아프리카 지역 쿠데타 중재 및 제재
    • 2020년 8월 말리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케이타(Boubacar Keita) 前 대통령을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하자, ECOWAS는 생필품 및 의약품 등을 제외한 상업거래 및 금융거래 제한을 골자로 하는 경제제재를 시행, 2020년 10월 말리에서 과도정부가 정식 출범함에 따라 제재 전면 해제
    • 2021년 5월 과도정부에 대한 군부 쿠데타가 발생, 2021년 11월 ECOWAS 특별정상회의에서 말리의 회원자격 정지, 지도부와 그 가족의 여행금지 조치 및 금융자산 동결 등의 제재에 합의
    • 2022년 1월 ECOWAS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말리 과도정부의 총선 연기* 통보에 대한 제재 조치로 말리와의 육로·항로 국경 전면 폐쇄, 국가자산동결 추진 및 비필수적 금용거래 중단 등의 강경조치 단행
      * 기존 2022년 2월에서 2025년 12월로 변경
  • 기니 쿠데타 사태 중재 및 민주주의 전환을 위한 조치
    • 2021년 9월 기니 쿠데타 발생 후, ECOWAS는 수뇌부와 그 가족의 이동 제한, 금융 자산 동결 등 제재 조치를 시행하며 6개월(2022년 2월까지)의 민정복귀 기한 제시
    • 그러나 기니의 민주주의 전환 불이행에 따라 2022년 9월 ECOWAS는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추가 민정복귀 기한을 제시하는 반면, 불이행 시 ECOWAS 투자개발은행(EBID)의 기니 대상 모든 재정지원 및 거래 중단, 추가 외교·경제·재정 제재를 단행할 것에 합의
  •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사태 중재 및 민주주의 전환을 위한 조치
    • 2022년 1월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직후 ECOWAS 회원국 자격 정지, 금융 및 통상 제재
    • 2022년 7월 ECOWAS는 부르키나파소 과도정부가 2년 이내 민주선거를 통해 정권을 이양하는 조건으로 금융 및 통상 제재 정지
  • 서아프리카 지역 선거 감시 임무
    • 2019년 2월 나이지리아 총선, 세네갈 대선, 3월 기니비사우 총선
    • 2020년 2월 토고 대선, 12월 가나 대선 및 총선
    • 2021년 2월 니제르 대선 2차 투표, 4월 베냉 대선
일반사항
회원국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니제르, 베냉, 부르키나파소, 라이베리아, 말리, 세네갈,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코트디부아르, 토고
설립일 1975년 5월 28일
본부 소재지 나이지리아 아부자
사무총장 Nana Addo Dankwa Akufo-Addo (現 가나 대통령)
목적 서아프리카 지역 내 경제 및 화폐 통합, 국가 간 협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개발
주요조직
정상회의
(Authority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
각료이사회
(Council of Ministers)
-
집행위원회
(The Commission)
회장, 부회장 및 7명의 위원과 14개의 부서로 구성
공동체 의회
(The Community Parliament)
의석은 총 115석으로 국가지도부 당국에 의해 결정
각 회원국마다 최소 5석이 보장되며, 40석은 회원국의 인구수에 따라 결정
국방 이사회
(Defense Council)
회원국의 국방부 장관과 외교부 장관으로 구성
무력 분쟁 대비를 목적으로 위원회 의장을 내부적으로 선출하고 전투부대 지휘관으로 임명
사무국
(Executive Secretariat)
사무총장, 2명의 사무부총장, 1명의 재정관리자로 구성
사무총장은 각료 이사회에 의해 임명되며, 4년 단임제
특별위원회
(Specialized Committees)
교통·통신·관광 위원회, 식품·농업 위원회, 행정·재정 위원회, 환경·천연자원 위원회, 인적자원·사회·문화 위원회, 산업·과학기술·에너지 위원회, 무역·세관·세금·통계·화폐·지급 위원회, 정치·사법·법률사무·지역안보·이민 위원회
기타 ECOWAS 사법재판소(The Community Court of Justice), 공동체 재판소(Community Tribunal), ECOWAS 투자개발은행(EBID, ECOWAS Bank for Investment and Development)
연혁
  • 1975
    • 5월 서부아프리카 15개국이 경제 통합 증진을 위한 라고스협약에 의거해 ECOWAS 설립
  • 1993
    • 7월 공동시장 창설과 단일통화 제정, 공동법원 설립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신협약 서명
  • 1990
    • 2만여 명 규모의 다국적군으로 구성된 ECOWAS휴전감시단(ECOMOG,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Cease-fire Monitoring Group) 창설 ECOMOG는 1997년 시에라리온 내전, 1999년 기니비사우 내전, 2003년 코트디부아르 내전에 군대를 파견하여 내전 종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2012년 말리사태 이후 더욱 적극적인 군사개입의 정당성을 확보
  • 2007
    • 6월 회원국의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을 위해 ‘비전 2020’ 수립
  • 2012
    • 테러와의 전쟁을 위한 공동전략 제시 서아프리카 내 테러리즘에 대한 회원국 간 실질적 정치적 협력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수 있도록 능력을 갖추고자 함. 특히 회원국 간 정보교환에 필요한 협력 강화 방침 결정
  • 2014
    • 6월 EU와 경제동반자협정(EPA,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체결
  • 2015
    • 1월 역외공통관세(CET, Common External Tariff) 도입 2016년 2월 가나, CET 본격 시행
  • 2017
    • 모로코 가입
우리나라와의 관계
  • 2016년 7월 ECOWAS 대표단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CAMP, Cyber-security Alliance for Mutual Progress)’ 참여
    • CAMP는 글로벌 사이버보안 발전 및 신뢰구축을 위해 35개국 47개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의체
    • ECOWAS 대표단은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우리나라 공공기관 및 CAMP 참여국 인사들과 ICT 발전을 위한 고위급 면담 참여
  • 2021년 5월 주가나 대한민국대사관은 서아프리카 기니만 해역에서 우리 선원 등의 해적 피랍 예방과 사건 발생 시 효과적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다국적해양조정센터(MMCC, Multinational Maritime Coordination Center)*에 19만 달러 상당의 IT 전산장비 등 지원
    * 2013년 ECOWAS와 ECCAS 회원국 정상회의 계기로 설립된 산하기구로 가나 아크라에 위치
중부아프리카경제공동체 마크
중부아프리카경제공동체
(ECCAS, Economic Community of Central African State)
최신동향
  • CEMAC+ECCAS 통합을 통한 단일 경제공동체 추진
    • 2020년 11월 CEMAC과 ECCAS의 통합 논의를 위한 실무위원회가 카메룬 야운데에서 개최
    • 2022년 8월 CEMAC과 ECCAS 간 각료회의를 카메룬 야운데에서 개최, 2023년 말까지 통합을 완료하기로 결정 ※ CEMAC 회원국(6개) : 카메룬, 가봉,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적도기니, 콩고공화국
      ※ ECCAS 회원국(11개) : CEMAC 6개국+앙골라, 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 르완다, 상투메프린시페
    • 두 협의체의 통합 논의는 2007년 ECCAS 정상회의 시 많은 회원국이 중복가입되어 있는 두 협의체의 정책을 조화시킴으로써 장기적으로는 단일 시장을 창출한다는 목적으로 제기된 이래, 2010년부터 실무위원회가 구성되어 통합을 위한 제반 작업 진행 중
    • 위원회는 CEMAC과 ECCAS의 통합은 670만 ㎢ 면적, 약 2억 명의 인구를 보유한 시장을 창출할 것이며 통합 GDP는 약 2,883억 세파프랑에 이를 것이라 전망
    • 아울러 중부아프리카 지역의 저조한 무역 거래, 두 개의 공동체에 동시 가입됨으로써 발생하는 규정 적용 상충 문제 등을 해결함으로써 역내 실질적인 통합 및 단일시장으로서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 설명
  • 공동시장, 자유무역지대 설립, 관세 동맹 등 역내통합을 추진하고 있으나, 회원국의 역량 부족과 역내 불안정한 상황으로 지연
  • 2022년 1월 제20차 ECCAS 정상회의에서 Félix Tshisekedi 콩고민주공화국 대통령 의장직 수임
일반사항
회원국 가봉, 르완다, 부룬디, 상투메프린시페, 앙골라, 적도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카메룬, 콩고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설립일 1983년 10월 18일
본부 소재지 가봉 리브르빌
사무총장 Ahmad Allam-Mi (前 차드 외교부 장관)
목적
  • 1단계: 관세 제도 안정성 도모, 공동체 내 점진적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철폐를 위한 일정 수립, 역외공통관세(CET) 채택에 있어 회원국의 감세 혹은 증세를 위한 일정 수립
  • 2단계: 자유무역지대 설립(관세 및 비관세 장벽 철폐 점진적 착수)
  • 3단계: 관세 동맹 설립(CET 적용)
  • 설립 당시 경제통합을 통해 단일시작 구축을 목표로 하였으나, 2002년 역내 안보 상황을 고려하여 공동체의 우선순위를 평화․안보 구축으로 변경
주요조직
정상회의(Conference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각국 정상으로 구성, 최고 의결 기관
공동체 전반적인 정책 및 방향 결정
연 1회 개최
각료회의(Council of Ministers) 각국 경제관련 각료급으로 구성
ECCAS 수립 목표 달성을 위한 권고사항을 정상회의에 제시
연 1회 개최 및 회원국의 2/3이상 합의 시 특별회의 개최 가능
의장국의 관료가 각료회의 장관으로 임명됨
공동체 기관의 활동 관리
사무국(Secretariat General) 평화정착부, 경제통합부, 기획조정부로 구성
사무총장, 사무차장, 재정 담당자, 회계사, 직원으로 구성
공동체 내 최고 행정 기관, 공동체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구상
중부아프리카 평화안보이사회(COPAX) 역내 평화·안보 촉진, 유지 및 통합을 담당하는 중앙기구
다국적군(FOMAC), 국방안보이사회(CDS, Commission for Defense and Security), 중부아프리카 조기경보체제(MARAC, Central African Early Warning System)
중부아프리카 에너지 풀(PEAC) 안정적 전기 공급을 위한 에너지 정책의 실행, 관련 연구, 사회기반시설 구축을 담당
사법재판소(Court of Justice) 공동체의 규정 및 법적 문제 결정
중부 아프리카 의회 네트워크(Central African Parliamentary Network) 회원국 간 대화, 협조, 합의를 위한 장
자문위원회(Consultative Commission) 각국에서 임명한 전문가로 구성
각료회의 지휘 하에, 공동체 내 다른 기관들이 제출한 프로젝트와 질문에 대해 연구 및 조사 담당
기니만지역수산위원회(COREP) 수산자원의 보호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담당
중부아프리카산림위원회(COMIFAC) 산림생태계의 보존 및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를 담당
연혁
  • 1981
    • 12월 중부아프리카경제관세연합(UDEAC, Central African Economic and Customs Union) 정상회의에서 중부아프리카국가 간 경제공동체 확대에 합의
  • 1983
    • 10월 ECCAS 창설에 관한 협약 체결 ※중부아프리카경제통화공동체(CEMAC, Central African Economic and Monetary Community) 회원국(가봉,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카메룬, 콩고공화국), 대호수지역국가경제공동체(CEPGL, Economic Community of the Great Lakes Countries)의 3개국(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 르완다), 상투메 프린시페, 앙골라에 의해 설립
  • 1992~97
    • 회원국 중 7개국이 분쟁 국면에 접어들면서 활동 전면 중지
  • 1999
    • 활동 재개, 앙골라는 옵저버로 활동하다가 공식 회원국으로 전환
    • 1월 가봉 봉고 대통령 주도하에 물리적 통합뿐 아니라, 경제·통화 통합을 목표로 하는 ‘ECCAS 활성화 프로그램(Recovery and Revitalization Programme)’ 채택
  • 2003
    • 4월 중부아프리카에너지풀(PEAC, Central Africa Power Pool) 창설
  • 2004
    • 1월 중부아프리카평화안보이사회(COPAX, The Council for Peace and Security in Central Africa)와 중부아프리카다국적군(FOMAC, The Central African Multinational Force)와 국방안보이사회(CDS, Commission for Defense and Security)을 설립, 정치 및 안보분야로 협력 확장
  • 2015
    • 9월 기니만지역수산위원회(COREP, Regional Fisheries Commission of the Gulf of Guinea)와 역내 수산업 운영과 개발에 관한 기술 협약 체결
  • 2016
    • 8월 르완다의 ECCAS 재가입 르완다는 ECCAS의 창립회원국이었으나 ’07년 탈퇴
      2014년 10월부터 재가입 절차 시작하여 ’16년 8월 재가입 완료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 마크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
(SADC,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최신동향
  • 2020년 SADC 비전2050 및 지역전략개발계획 2020-2030(RISDP 2020-2030) 발표
    • RISDP 2020-2030과 비전2050은 SADC의 지역 통합과 개발 의제 및 관련 프로그램의 구현을 위한 지침 및 프레임워크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수립됨
    • RISDP 2020-2030과 비전 2050은 평화, 안보, 그리고 민주 정치를 기반으로 △산업 개발 및 시장 통합, △지역 통합을 위한 인프라 개발, 그리고 △사회 및 인적 자원 개발이라는 세 가지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음
  • 2021년 6월 SADC 회원국들은 모잠비크 카보 델가도(Cabo Delgado) 지역 내 테러 대응과 안보 강화를 위해 대기병력(Standby Force)를 파병에 합의하는 한편 기존 병력의 파병 기간을 2022년 7월까지 연장하기로 합의
  • 2021년 8월 말라위에서 열린 제41차 SADC 정상회의에서 SADC 의장으로 말라위 Lazarus Chakwera 대통령 선출
일반사항
회원국 총 16개국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보츠와나, 세이셸, 앙골라, 에스와티니, 잠비아, 짐바브웨, 코모로,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
설립일 1992년 8월 17일
사무국 소재지 보츠와나 가보로네
사무총장 Félix Tshisekedi (現 콩고민주공화국 대통령)
목적 남부 아프리카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경제개발, 평화안보, 성장, 빈곤퇴치 추진과 경제통합을 통한 사회적 약자 지원과 공평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추진
공동 아젠다 빈곤 퇴치 가속화를 위한 지속가능하고 공평한 경제 성장과 사회경제적 개발 촉진
민주적, 합법적, 효과적인 제도를 통한 공유가치, 정치가치, 시스템의 향상
민주주의, 평화안보의 유지 및 통합 촉진
주요조직
정상회의(Summit of Heads or State or Government) SADC 전반의 정책방향, 기능 관리를 담당하며 매년 8~9월 중 회의 개최
3자 정상회담(Summit Troika of the Organ) 정치, 방위, 안보 담당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각국 재정경제기획 등을 담당하는 장관들로 구성, 매년 최소 2회 회의 개최
장관위원회(Sectoral & Cluster Ministerial Committees) SADC 각 회원국 장관들로 구성
고위관리상설위원회(Standing Committee of Senior Officials) 각료위원회의 기술고문 역할 담당, 연 2회 모임
사무국(Secretariat) 프로그램의 기획, 조정 및 관리를 담당하는 주요집행기관
국가위원회(National Committees) 공동체의 정책 및 전략 수립에 국가 차원의 의견 제시, 수립된 프로그램의 국가 단위의 실행을 조정 및 감독
의회포럼(Parliamentary Forum) 각국 국회의장 및 국별 최대 5인의 국회의원으로 구성,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다른 기관과 협조
연혁
  • 2020
    • SADC 비전2050 및 지역전략개발계획 2020-2030(RISDP, Regional Indicative Strategic Development Plan 2020-2030) 발표
  • 2017
    • 8월 코모로 가입
  • 2015
    • 에너지 안보 개선과 에너지 서비스 현대화를 위한 SADC 내 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센터(SACREEE, SADC Centre for Renewable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설립
    • 회원국 내외 상품무역 생산 강화를 위한 SADC 산업화 전략 로드맵(2015-2063) 발표
  • 2008
    • 8월 SADC 자유무역지대 출범- 회원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 발효(당시 15개 회원국 중 앙골라와 콩고민주공화국을 제외한 13개국 참여)
  • 2005
    • 마다가스카르 가입 ※2009년 3월 정상회의에서 SADC은 마다가스카르의 Rajoelina 쿠테타 집권을 비난, 회원국 자격 중지, 이후 마다가스카르의 민주적 국가체제 안정과 함께 ’14년 1월 회원국 자격 회복
  • 2002
    • SADC 내 국가 전력 및 에너지 규제 당국의 협력을 위한 규제 협회(RERA, Regulatory Association for cooperation of national electricity and energy regulatory authorities) 설립
  • 1998
    • 콩고민주공화국 및 세이셸 가입
  • 1996
    • SADC 내에서 평화, 안보 및 법치 유지를 위한 정치·국방 및 안보 협력기관(Organ on Politics, Defence and Security Cooperation) 출범
  • 1994
    • 남아공 가입 및 SADC의 목표를 역내 경제통합으로 재설정
  • 1992
    • 8월 나미비아 정상회담에서 SADC로 명칭 변경
  • 1990
    • 나미비아 가입 및 ’92년 8월 나미비아 정상회담에서 남아프리카개발공동체(SDAC)으로 명칭 변경
    • 3월 정상회의에서 SADC은 마다가스카르의 Rajoelina 쿠테타 집권을 비난, 회원국 자격 중지, 이후 마다가스카르의 민주적 국가체제 안정과 함께 ‘14년 1월 회원국 자격 회복
  • 1980
    • 4월 앙골라, 레소토, 말라위, 모잠비크, 보츠와나, 에스와티니, 잠비아, 짐바브웨, 탄자니아 등 9개국이 모여 설립한 남아프리카개발조정회의(SADCC,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ordination Conference)로 시작하여 확대, 발전
주요조직
정상회의(Summit of Heads or State or Government) SADC 전반의 정책방향, 기능 관리를 담당하며 매년 8~9월 중 회의 개최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각국 재정경제기획 등을 담당하는 장관들로 구성, 매년 최소 2회 회의 개최
기타 3자 정상회담(Summit Troika of the Organ): 정치, 방위, 안보 담당
사법재판소(Tribunal) 등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 마크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
(COMESA,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최신동향
  • 2021년 6월 청년부 장관 회의를 최초로 개최, 청년들의 경제 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정책 논의
  • 2022년 7월 개최된 AU 정상회의에서 COMESA는 삼각자유무역지대(Tripartite FTA)의 진행 상황에 대한 긍정적 결과를 발표
    • 100% 관세 자유화, 원산지 규정 목록의 90%이상 합의 등의 주요 성과 달성
일반사항
회원국 총 21개국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부룬디,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잠비아, 지부티, 짐바브웨, 코모로, 케냐, 콩고민주공화국, 튀니지
설립일 1994년 12월 8일
사무국 소재지 잠비아 루사카
사무총장 Chileshe Kapwepwe (前 잠비아 재무부 차관, 前 IMF 상임이사)
목적 회원국들이 지역통합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우수한 기술 서비스 제공
우선순위 역내 생산역량 증대, 관세 철폐, 공동 대외 관세제도 구축 등 시장 규모 확대를 통한 자체 투자 및 외국인 투자 유치 여건 조성을 통해 타 경제블록 및 교역 대상국과 협상력 강화
주요조직
정상회의(Authority) 회원국 정부 수반으로 구성, 최고 정책결정기관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사법재판소와 사무국에서 제안한 예산을 승인
기타 사법재판소(Court of Justice), 사무국(Secretariat) 등
연혁
  • 2007
    • COMESA와 동아프리카공동체(EAC)의 소규모 무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무역간소화제도(STR, Simplified Trade Regime)를 설립 * 1천불(COMESA 기준) 또는 2천불(EAC 기준) 미만 상품의 경우 무관세 혜택
  • 2009
    • 6월 관세동맹 창설, COMESA 공동투자지역(CCIA, COMESA Common Investment Area) 출범
  • 2015
    • 6월 이집트 카이로에서 COMESA, EAC, 남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 간의 삼각자유무역지대(Tripartite FTA) 출범 * 역외국 보다는 역내 교역 확대와 아프리카대륙 전체를 연계하는 인프라 건설을 우선 추진
      * 20년 1월 기준 8개국(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르완다, 보츠와나, 부룬디, 우간다, 이집트, 케냐) 비준 완료
  • 2018
    • 소말리아, 튀니지 회원국으로 가입
  • 1993
    • 세계적인 경제통합 가속화 추세에도 불구, 기존의 동남부아프리카국가간특혜무역지대(PTA, Preferential Trade Area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가 역내 경제 협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못하자, 대안으로 ‘93년 11월 PTA 정상회담에서 역내 자유무역지대 창설과 역외 공동 관세 형성 등 경제 공동체를 목표로 하는 COMESA 조약 체결 * COMESA는 PTA의 특혜관세 수준의 협력을 넘어 자유무역지대, 역외공동관세, 화폐동맹 등 보다 강력한 경제 통합체를 목표로 함
동아프리카정부간개발기구 마크
동아프리카정부간개발기구
(IGAD, Intergovernmental Authority on Development)
최신동향
  • 2022년 9월 우간다 에볼라 발병에 대한 신속한 대응 촉구 요청
    • 정부, 지역 및 국제기구, 민간 부문 및 시민사회의 통합된 대응을 위한 자금지원 요청과 잘못된 정보 확산 방지를 위한 신속한 대응 촉구
  • 2022년 5월 가뭄 대응을 주제로 한 IGAD 각료회의 개최
    •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동 각료회의는 IGAD 회원국에서 지속되고 있는 가뭄의 심각성을 진단하고 대응을 촉구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IGAD 회원국 외에도 유럽연합(EU), 세계식량프로그램(WFP)과 같은 파트너기관이 참여
    • IGAD 회원국 전체에서 약 4,040만 명의 사람들이 높은 수준의 식량 불안에 직면하고 있으며, 지역의 가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총 63억 달러의 예산과 인도주의적 긴급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
  • 2018년 1월 IGAD 안보분야프로그램(ISSP, IGAD Security Sector Programme)에서 제2차 ‘반과격화, 교전중지, 테러리스트의 사회 재통합(Counter Radicalization, Disengagement, and Reintegration of Terrorist)’ 교육 진행
  • 2018년 4월 IGAD 지역인프라 마스터플랜(IRIMP, IGAD Regional Infrastructure Master Plan)을 위해 나이지리아의 IPE Global Limited와 Africon Universal Consulting사와의 계약 체결 ※ IRIMP은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의 재정지원을 받아 진행됨. 동 계획은 IGAD 지역이 경제적 통합을 달성하고 아프리카범자유무역지대(AfCFTA)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함
  • 2018년 5월 제5차 IGAD 가뭄피해 대응력 및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IDDRSI, IGAD Drought Disaster Resilience and Substantiality Initiative) 총회 개최
  • 2018년 6월 ‘IGAD 목초지 및 가축 개발 센터(ICPALD, IGAD Center for Pastoral Areas and Livestock Development)’에서 육우생산증대와 지역경험 공유 워크숍 개최
  • 2018년 6월 IGAD의 주도하에 남수단 반군 Riek Machar와 Salva Kiir 남수단 대통령과의 평화 회담 진행
일반사항
회원국 총 8개국 *남수단,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지부티, 케냐
설립일 1996년 11월 26일
사무국 소재지 지부티 지부티
사무총장 Workneh Gebeyehu (前 에티오피아 외교부 장관)
목적 가뭄 등 자연재해 해결을 위한 회원국 간의 공동 행동 수행, 역내 발전을 위한 정치․경제․개발․사회발전․무역 및 안보 협력
주요조직
정상회의(Assembly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IGAD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연 1회 회의 개최를 통해 IGAD의 주요 프로그램과 가이드라인, 사무총장 임명 등을 결정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각 회원국의 외무장관 및 각국이 지정한 주요 장관으로 구성되며, 연 2회 회담을 통해 정책 발안 및 사무국의 실무 프로그램과 예산 승인 담당
대사위원회(Committee of Ambassadors) 회원국의 대사 및 본부 승인 전권 대사로 구성되며, 사무총장에게 자문 및 조언 제공
사무국(Secretariat) IGAD의 실질적 행정을 담당하고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기구로, 산하 경제협력 및 사회발전부, 농업환경부, 평화안보부, 행정재정부 등 4개의 부서가 있음
연혁
  • 1986
    • 1월 역내 식량 안보와 환경 보호를 위해 6개국 참석 하에 IGAD의 전신인 IGADD (Intergovernmental Authority on Drought and Development) 설립
  • 1993
    • 에리트레아 IGADD에 가입
  • 1996
    • 3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제2차 정상회의에서 현재의 IGAD로 개칭하며 포괄적 지역협력체로 출범
  • 2006
    • 9월 회원국 중 무정부국가였던 소말리아에 소규모 평화유지군(IGASOM, IGAD Peace Support Mission to Somalia) 파병
  • 2007
    • 에리트레아 탈퇴
  • 2011
    • 에리트리아 재가입
    • 남수단 가입
동아프리카공동체 마크
동아프리카공동체
(EAC, East African Community)
최신동향
  • 2022년 3월 제19차 EAC 특별정상회의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의 회원국 가입 확정 여부 논의, 2022년 7월 콩고민주공화국의 EAC 가입 확정
  • 2022년 8월 서울애서 한-EAC 1.5 트랙 파트너십 세미나 개최
    • EAC 공동시장 현황과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출범 상황 하에서의 한-EAC 협력 증진 방안, 한-EAC 교역 및 인프라 협력에 대해 논의
일반사항
회원국 총 7개국 *남수단, 르완다, 부룬디,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콩고민주공화국
설립일 2000년 7월 7일(재창설)
사무국 소재지 탄자니아 아루샤
사무총장 Peter Mathuki (前 동아프리카의회(EALA) 케냐 대표)
목적 안정, 번영 경쟁력을 갖춘, 정치적으로 통합된 동아프리카 건설
동아프리카지역의 삶의 질 향상과 상호 이익 증진을 위해 회원국 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통합 강화
우선순위 지역 통합을 위한 관세동맹, 공동시장, 화폐동맹, 정치연대
주요조직
정상회의(Summit) 회원국 정부 수반으로 구성, 최고 정책결정기관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각 회원국의 장관이 매년 2회 모여 정상회의 준비 및 EAC 발전 정책 수립
기타 조정위원회(Coordinating Committee), 분과위원회(Sectoral Committees), 동아프리카사법재판소(The East African Court of Justice) 등
연혁
  • 1967
    •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3국 동아프리카협력조약 체결
  • 1977
    • 해체
  • 1999
    • 11월 EAC 창설협정 서명
  • 2000
    • 7월 공식적인 활동 착수
  • 2001
    • 동아프리카 입법회의와 재판소 창설
  • 2005
    • 역내 관세동맹 출범
  • 2007
    • 르완다, 부룬디 EAC 가입
  • 2010
    • 동아프리카공동시장 출범
  • 2016
    • 남수단 가입
  • 2022
    • 콩고민주공화국 가입
  • 2023
    • 2023 소말리아 가입
사헬-사하라국가공동체 마크
사헬-사하라국가공동체
(CEN-SAD, Community of Sahel-Saharan States)
최신동향
  • 2021년 9월 모로코 총선 관련 감시단 활동
일반사항
회원국 총 24개국 *가나, 감비아,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니제르, 모리타니아, 베냉, 리비아, 말리, 모로코,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에리트레아, 이집트,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차드,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토고, 튀니지
설립일 1998년 2월 4일
사무국 소재지 리비아 트리폴리
사무총장 Ibrahim Sani Abani
목적 회원국의 국가개발전략 간 조화와 인력 및 물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한 경제 공동체 형성
시민의 거주권 및 회원국의 기업 설립권, 소유권, 및 자유로운 경제무역 활동 보장
FTA 실현을 통한 역내 경제 교류 활성화
회원국 간 공동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실시
다층의 교육 시스템 간 조화 등
주요조직
정상회의(Conference of Heads of State) 각국 정부 수반으로 구성되는 정책 결정 최고 기구로 연례 1회 회담 개최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주요 및 보조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국가 수장 협의회의 결정 사안 실행
산하 대외 관계 협력국, 재정 경제 계획국, 공안국 3개 조직 활동
사무국(General Secretariat) 행정 집행 기구로 산하 기관 운영 감시
사헬-사하라 투자무역 은행(BSIC) 경제 개발 프로젝트의 자금 지원 담당
경제, 사회, 문화 위원회(Economic, Social, Cultural Council) 정책 개발과 경제 전략 및 회원국의 사회 문화 개발 프로그램에 자문 제공
연혁
출범 배경
  • 1998
    • 2월 설립 이후, ’99년에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에리트레아 및 사하라 지역의 국가들 가입
  • 1999
    • 사헬-사하라 투자무역 은행(BSIC, The Sahel-Saharan Investment and Trade Bank) 설립 및 관련 협정 체결
  • 2000
    • 7월 제36차 국가수장 협의회 총회에서 지역 경제 기구로 재출범
UN총회에서 옵저버 자격 수여
주요이슈
  • 자유무역협정이 보다 활발하게 진행된 다른 지역경제공동체(ECOWAS, ECCAS, COMESA 등)와의 중복된 회원국 가입으로 비교경쟁력이 떨어지면서 CEN-SAD의 비중 감소
    • 저조한 역내 무역량과 인프라 부족 등으로 인하여 창설 이후 뚜렷한 성과 없음
  • ‘16년 3월 CEN-SAD 회원국 국방부 장관회의 개최
    • 3월 22~25일 이집트 샤름엘쉐이크에서 27개국 국방 및 안보대표단, 지역 및 국제기구 대표 참여
    • 테러 위험이 급격히 집중되는 사하라 사헬지역의 안보증진과 국제적인 테러방지를 위한 군사적 노력에 동참하기 위한 협의 발표
아랍마그레브연합 마크
아랍마그레브연합
(AMU, Arab Maghreb Union)
일반사항
회원국 총 5개국 *리비아, 모로코, 모리타니아, 알제리, 튀니지
설립일 1989년 2월 17일
사무국 소재지 모로코 라바트
사무총장 Tayeb Al-Bakoush (前 튀니지 교육부 장관)
목적 지역 내 정치․경제 현안에 관한 회원국 간 협력 및 우호 관계 증진
상호 이익을 위한 공동 정책 수립 및 회원국 간 재산, 서비스, 인력 및 자원 교류 활성화
주요조직
정상회의(Council of Heads of States) 5개 회원국 정상들로 구성된 회의로 AMU와 지역에 관한 최고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AMU 소속 기관들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음
외교장관회의(Council of Ministers of Foreign Affairs) 각국 외교장관으로 구성되며 정상회의 준비 및 집행위원회에서 발의된 의제 논의
사무국(General Secretariat) 사무총장을 포함하여 정무-정보부, 식량안전공급부, 경제부, 기반시설부, 인적자원부, 행정-재정으로 구성
자문의회(Consultative Assembly) 각 국가별로 30명의 대표단으로 구성되며 정상회의에 자문역할 수행
연혁
  • 1988
    • 6월 마그레브 5개국 정상회담에서 지역 단위의 경제 공동체 창설 논의
  • 1989
    • 2월 마그레브 5개국 공동 협정(Constitute Treaty of the Union of the Arab Maghreb)에 서명하면서 AMU가 창설됨
  • 1994
    • 4월 튀니지 튀니스에서 개최된 제6차 정상회의 이후 정상회의 개최 중단
  • 2003
    • 12월 알제리에서 제7차 정상회의가 예정되었지만 리비아의 의장국 문제제기로 연기
  • 2005
    • 리비아를 의장국으로 지정하면서 정상회의 개최를 계획하였지만 또 다시 연기
  • 2010
    • 12월 역내 FTA 창설 선포
  • 2014
    • 5월 외교장관 회의를 통해 기구의 교착 상태에 관한 문제 논의
  • 2016
    • AMU 내무장관 회의 개최 유럽의 5개 국가(프랑스, 이탈리아, 몰타, 스페인, 포르투갈)와 아랍마그레브 5개국 간 공동 정상회의는 진행하였으나, AMU간의 정상회의는 진행된 바 없음
주요이슈
  • 회원국 간 정치 갈등으로 1994년 이후 정상회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모로코-알제리 관계의 회복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지적
  • ‘90년대 이후 의장국 선정과 서부 사하라 지역 독립 문제(모로코와의 갈등 심화)를 두고 회원국 간 이견이 발생하면서 회원국 간 정상회담 개최 중단
  • ‘08년 7월 유럽·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의 43개국이 지중해 연합(UPM, Union pour la Méditerranée) 결성
  • ‘09년 12월 마그레브 외교장관 회담에서 투자·무역을 위한 마그레브 은행(Maghreb Bank for Investment and Foreign Trade) 창설 추진
  • ‘12년 2월 모로코 라바트에서 ‘96년 이후 처음으로 고위 장관급 회의 개최
  • ‘14년 12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와 지역 내 식량안보와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사업(‘14년~‘17년) 협정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