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국 |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니제르, 베냉, 부르키나파소, 라이베리아, 말리, 세네갈,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코트디부아르, 토고 |
---|---|
설립일 | 1975년 5월 28일 |
본부 소재지 | 나이지리아 아부자 |
사무총장 | Nana Addo Dankwa Akufo-Addo (現 가나 대통령) |
목적 | 서아프리카 지역 내 경제 및 화폐 통합, 국가 간 협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개발 |
정상회의 (Authority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
- |
---|---|
각료이사회 (Council of Ministers) |
- |
집행위원회 (The Commission) |
회장, 부회장 및 7명의 위원과 14개의 부서로 구성 |
공동체 의회 (The Community Parliament) |
의석은 총 115석으로 국가지도부 당국에 의해 결정 각 회원국마다 최소 5석이 보장되며, 40석은 회원국의 인구수에 따라 결정 |
국방 이사회 (Defense Council) |
회원국의 국방부 장관과 외교부 장관으로 구성 무력 분쟁 대비를 목적으로 위원회 의장을 내부적으로 선출하고 전투부대 지휘관으로 임명 |
사무국 (Executive Secretariat) |
사무총장, 2명의 사무부총장, 1명의 재정관리자로 구성 사무총장은 각료 이사회에 의해 임명되며, 4년 단임제 |
특별위원회 (Specialized Committees) |
교통·통신·관광 위원회, 식품·농업 위원회, 행정·재정 위원회, 환경·천연자원 위원회, 인적자원·사회·문화 위원회, 산업·과학기술·에너지 위원회, 무역·세관·세금·통계·화폐·지급 위원회, 정치·사법·법률사무·지역안보·이민 위원회 |
기타 | ECOWAS 사법재판소(The Community Court of Justice), 공동체 재판소(Community Tribunal), ECOWAS 투자개발은행(EBID, ECOWAS Bank for Investment and Development) |
회원국 | 가봉, 르완다, 부룬디, 상투메프린시페, 앙골라, 적도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카메룬, 콩고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
---|---|
설립일 | 1983년 10월 18일 |
본부 소재지 | 가봉 리브르빌 |
사무총장 | Ahmad Allam-Mi (前 차드 외교부 장관) |
목적 |
|
정상회의(Conference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 각국 정상으로 구성, 최고 의결 기관 공동체 전반적인 정책 및 방향 결정 연 1회 개최 |
---|---|
각료회의(Council of Ministers) | 각국 경제관련 각료급으로 구성 ECCAS 수립 목표 달성을 위한 권고사항을 정상회의에 제시 연 1회 개최 및 회원국의 2/3이상 합의 시 특별회의 개최 가능 의장국의 관료가 각료회의 장관으로 임명됨 공동체 기관의 활동 관리 |
사무국(Secretariat General) | 평화정착부, 경제통합부, 기획조정부로 구성 사무총장, 사무차장, 재정 담당자, 회계사, 직원으로 구성 공동체 내 최고 행정 기관, 공동체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구상 |
중부아프리카 평화안보이사회(COPAX) |
역내 평화·안보 촉진, 유지 및 통합을 담당하는 중앙기구 다국적군(FOMAC), 국방안보이사회(CDS, Commission for Defense and Security), 중부아프리카 조기경보체제(MARAC, Central African Early Warning System) |
중부아프리카 에너지 풀(PEAC) | 안정적 전기 공급을 위한 에너지 정책의 실행, 관련 연구, 사회기반시설 구축을 담당 |
사법재판소(Court of Justice) | 공동체의 규정 및 법적 문제 결정 |
중부 아프리카 의회 네트워크(Central African Parliamentary Network) | 회원국 간 대화, 협조, 합의를 위한 장 |
자문위원회(Consultative Commission) | 각국에서 임명한 전문가로 구성 각료회의 지휘 하에, 공동체 내 다른 기관들이 제출한 프로젝트와 질문에 대해 연구 및 조사 담당 |
기니만지역수산위원회(COREP) | 수산자원의 보호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담당 |
중부아프리카산림위원회(COMIFAC) | 산림생태계의 보존 및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를 담당 |
회원국 | 총 16개국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보츠와나, 세이셸, 앙골라, 에스와티니, 잠비아, 짐바브웨, 코모로,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 |
---|---|
설립일 | 1992년 8월 17일 |
사무국 소재지 | 보츠와나 가보로네 |
사무총장 | Félix Tshisekedi (現 콩고민주공화국 대통령) |
목적 | 남부 아프리카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경제개발, 평화안보, 성장, 빈곤퇴치 추진과 경제통합을 통한 사회적 약자 지원과 공평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추진 |
공동 아젠다 | 빈곤 퇴치 가속화를 위한 지속가능하고 공평한 경제 성장과 사회경제적 개발 촉진 민주적, 합법적, 효과적인 제도를 통한 공유가치, 정치가치, 시스템의 향상 민주주의, 평화안보의 유지 및 통합 촉진 |
정상회의(Summit of Heads or State or Government) | SADC 전반의 정책방향, 기능 관리를 담당하며 매년 8~9월 중 회의 개최 |
---|---|
3자 정상회담(Summit Troika of the Organ) | 정치, 방위, 안보 담당 |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 각국 재정경제기획 등을 담당하는 장관들로 구성, 매년 최소 2회 회의 개최 |
장관위원회(Sectoral & Cluster Ministerial Committees) | SADC 각 회원국 장관들로 구성 |
고위관리상설위원회(Standing Committee of Senior Officials) | 각료위원회의 기술고문 역할 담당, 연 2회 모임 |
사무국(Secretariat) | 프로그램의 기획, 조정 및 관리를 담당하는 주요집행기관 |
국가위원회(National Committees) | 공동체의 정책 및 전략 수립에 국가 차원의 의견 제시, 수립된 프로그램의 국가 단위의 실행을 조정 및 감독 |
의회포럼(Parliamentary Forum) | 각국 국회의장 및 국별 최대 5인의 국회의원으로 구성,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다른 기관과 협조 |
정상회의(Summit of Heads or State or Government) | SADC 전반의 정책방향, 기능 관리를 담당하며 매년 8~9월 중 회의 개최 |
---|---|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 각국 재정경제기획 등을 담당하는 장관들로 구성, 매년 최소 2회 회의 개최 |
기타 | 3자 정상회담(Summit Troika of the Organ): 정치, 방위, 안보 담당 사법재판소(Tribunal) 등 |
회원국 | 총 21개국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부룬디,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잠비아, 지부티, 짐바브웨, 코모로, 케냐, 콩고민주공화국, 튀니지 |
---|---|
설립일 | 1994년 12월 8일 |
사무국 소재지 | 잠비아 루사카 |
사무총장 | Chileshe Kapwepwe (前 잠비아 재무부 차관, 前 IMF 상임이사) |
목적 | 회원국들이 지역통합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우수한 기술 서비스 제공 |
우선순위 | 역내 생산역량 증대, 관세 철폐, 공동 대외 관세제도 구축 등 시장 규모 확대를 통한 자체 투자 및 외국인 투자 유치 여건 조성을 통해 타 경제블록 및 교역 대상국과 협상력 강화 |
정상회의(Authority) | 회원국 정부 수반으로 구성, 최고 정책결정기관 |
---|---|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 사법재판소와 사무국에서 제안한 예산을 승인 |
기타 | 사법재판소(Court of Justice), 사무국(Secretariat) 등 |
회원국 | 총 8개국 *남수단,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지부티, 케냐 |
---|---|
설립일 | 1996년 11월 26일 |
사무국 소재지 | 지부티 지부티 |
사무총장 | Workneh Gebeyehu (前 에티오피아 외교부 장관) |
목적 | 가뭄 등 자연재해 해결을 위한 회원국 간의 공동 행동 수행, 역내 발전을 위한 정치․경제․개발․사회발전․무역 및 안보 협력 |
정상회의(Assembly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 IGAD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연 1회 회의 개최를 통해 IGAD의 주요 프로그램과 가이드라인, 사무총장 임명 등을 결정 |
---|---|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 각 회원국의 외무장관 및 각국이 지정한 주요 장관으로 구성되며, 연 2회 회담을 통해 정책 발안 및 사무국의 실무 프로그램과 예산 승인 담당 |
대사위원회(Committee of Ambassadors) | 회원국의 대사 및 본부 승인 전권 대사로 구성되며, 사무총장에게 자문 및 조언 제공 |
사무국(Secretariat) | IGAD의 실질적 행정을 담당하고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기구로, 산하 경제협력 및 사회발전부, 농업환경부, 평화안보부, 행정재정부 등 4개의 부서가 있음 |
회원국 | 총 7개국 *남수단, 르완다, 부룬디,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콩고민주공화국 |
---|---|
설립일 | 2000년 7월 7일(재창설) |
사무국 소재지 | 탄자니아 아루샤 |
사무총장 | Peter Mathuki (前 동아프리카의회(EALA) 케냐 대표) |
목적 | 안정, 번영 경쟁력을 갖춘, 정치적으로 통합된 동아프리카 건설 동아프리카지역의 삶의 질 향상과 상호 이익 증진을 위해 회원국 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통합 강화 |
우선순위 | 지역 통합을 위한 관세동맹, 공동시장, 화폐동맹, 정치연대 |
정상회의(Summit) | 회원국 정부 수반으로 구성, 최고 정책결정기관 |
---|---|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 | 각 회원국의 장관이 매년 2회 모여 정상회의 준비 및 EAC 발전 정책 수립 |
기타 | 조정위원회(Coordinating Committee), 분과위원회(Sectoral Committees), 동아프리카사법재판소(The East African Court of Justice) 등 |
회원국 | 총 24개국 *가나, 감비아,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니제르, 모리타니아, 베냉, 리비아, 말리, 모로코,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에리트레아, 이집트,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차드,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토고, 튀니지 |
---|---|
설립일 | 1998년 2월 4일 |
사무국 소재지 | 리비아 트리폴리 |
사무총장 | Ibrahim Sani Abani |
목적 | 회원국의 국가개발전략 간 조화와 인력 및 물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한 경제 공동체 형성 시민의 거주권 및 회원국의 기업 설립권, 소유권, 및 자유로운 경제무역 활동 보장 FTA 실현을 통한 역내 경제 교류 활성화 회원국 간 공동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실시 다층의 교육 시스템 간 조화 등 |
정상회의(Conference of Heads of State) | 각국 정부 수반으로 구성되는 정책 결정 최고 기구로 연례 1회 회담 개최 |
---|---|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 주요 및 보조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국가 수장 협의회의 결정 사안 실행 산하 대외 관계 협력국, 재정 경제 계획국, 공안국 3개 조직 활동 |
사무국(General Secretariat) | 행정 집행 기구로 산하 기관 운영 감시 |
사헬-사하라 투자무역 은행(BSIC) | 경제 개발 프로젝트의 자금 지원 담당 |
경제, 사회, 문화 위원회(Economic, Social, Cultural Council) | 정책 개발과 경제 전략 및 회원국의 사회 문화 개발 프로그램에 자문 제공 |
회원국 | 총 5개국 *리비아, 모로코, 모리타니아, 알제리, 튀니지 |
---|---|
설립일 | 1989년 2월 17일 |
사무국 소재지 | 모로코 라바트 |
사무총장 | Tayeb Al-Bakoush (前 튀니지 교육부 장관) |
목적 | 지역 내 정치․경제 현안에 관한 회원국 간 협력 및 우호 관계 증진 상호 이익을 위한 공동 정책 수립 및 회원국 간 재산, 서비스, 인력 및 자원 교류 활성화 |
정상회의(Council of Heads of States) | 5개 회원국 정상들로 구성된 회의로 AMU와 지역에 관한 최고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AMU 소속 기관들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음 |
---|---|
외교장관회의(Council of Ministers of Foreign Affairs) | 각국 외교장관으로 구성되며 정상회의 준비 및 집행위원회에서 발의된 의제 논의 |
사무국(General Secretariat) | 사무총장을 포함하여 정무-정보부, 식량안전공급부, 경제부, 기반시설부, 인적자원부, 행정-재정으로 구성 |
자문의회(Consultative Assembly) | 각 국가별로 30명의 대표단으로 구성되며 정상회의에 자문역할 수행 |